
안성시의회 최승혁, 이관실, 황윤희 의원과 경기도의회 황세주 의원은 지난 2일, 안성청년한돈인과 간담회를 갖고 축산업 현장의 다양한 문제와 정책적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청년한돈인 회원들이 참석해 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보완을 강조했다.
청년 축산인들은 ▲15개 읍·면·동 정책 알림의 통일성 필요 ▲농장 주변 신축 주택 및 건축 허가 기준 강화 ▲축산농장 정기적인 소독 강화 ▲행정절차 간소화와 정책 지원의 효율성 개선 등을 건의하며, 축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변화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신동아 청년한돈협회장은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농가의 자발적인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 주민들의 반복적인 악성 민원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악취 문제를 단순히 민원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과학적 기준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존 사업 중 실효성이 낮고 중복되는 사업은 정리하고, 실질적인 신규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청년 축산인들은 안성시에서 시행 중인 무창축사 개선 사업과 축산시설 이전 사업 등이 있지만,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자부담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있어 사업 참여가 어려운 현실을 토로했다. 이에 따라 자부담 비율 조정과 맞춤형 지원 방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황세주 경기도의원은 “지속 가능한 축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경기도 차원에서 예산 확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축산업이 지역사회와 조화를 이루면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승혁 의원은 “청년 축산인들이 현장에서 마주하는 문제는 정책과 행정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며, “축산업과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도록 제도와 관련 조례 정비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황윤희 의원은 “무창축사 개선이나 축산시설 이전 사업이 현장에서 절실하지만, 자부담 비율이 높아 청년들이 실제로 참여하기 어렵다는 점에 공감한다”며 “자부담 기준을 조정하고 맞춤형 지원 방식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관실 의원은 “지원 제도를 보다 간결하고 명확하게 정비하고, 행정 절차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시의회에서 제도적 미비점을 점검하고, 현실에 맞는 정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정성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