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인천시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구축 사업서 ‘구린 내’ 진동

사업 대행 인천스마트시티㈜ 제안요청서에 특정 업체 제품소개서 내용 그대로
재난 예방·관리시스템 뒷전…‘특정 업체 밀어주기’ 식 공모 지적

 

‘인천시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구축 사업’ 공모 과정에서 ‘구린 내’가 진동한다.

 

대행 위탁을 맡은 인천스마트시티㈜의 제안요청서 상세 요구사항에 특정 업체의 제품 소개서 내용이 토씨 하나 틀리지 않은 채 명시돼 있다.

 

이 때문에 관련 업계에서는 이미 특정 업체가 내정됐다는 얘기까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해마다 발생하는 전통시장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약 27억 원을 투입, 전통시장 23곳에 ‘전통시장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보조금을 받으며 진행하는 이 사업은 2027년까지 전통시장 51곳 1만 847개 점포에 도입할 계획이다.

 

시장 내 각 점포 분전반마다 전기화재예방 IoT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센서를 통해 과부하나 누전 등의 이상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점포 주인과 지자체 재난상황실, 인근 소방서에 문자로 통보돼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사실상 화재 시 피해규모가 큰 전통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재난 예방·관리시스템 구축이 뼈대인 셈이다.

 

하지만 인천스마트시티㈜의 제안요청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재난 예방·관리시스템은 뒷전인 채 ‘특정 업체 밀어주기’ 식 공모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제안요청서 사업내용에 전기안전 계측센서가 ‘원격 전기안전, 전력량계, SMPS 등으로 구성된 시스템 설비’, ‘분전반 내부의 공간에 구애 없이 손쉬운 설치를 보장’, ‘저항성 누설전류, 용량성 누설전류 등 데이터 구축’ 등을 갖춰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 내용은 특정 업체의 제품 소개서에 그대로 찾아볼 수 있다.

 

이 업체의 제품 소개서에도 ‘원격 전기안전, 전력량계, SMPS가 모두 내장된 All in one 시스템 채책으로 통합적 제어 가능’, ‘고정밀 저항성 누설전류, 고정밀 용량성 누설전류, 활선상태 절연저항에 대한 국내 최상의 정밀 계측 가능’ 등 내용이 실려 있다.

 

사업 핵심인 ‘스마트 전기화재 운영시스템 솔루션’의 인천스마트시티㈜ 상세 요구사항을 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요구사항에는 ‘(지능화·스마트화 기반의 에너지 안전관리) IoT 플랫폼과 연계된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에너지 관리를 위한 현상 진단, 예지, 제어 및 최적화 대책을 제공’, ‘(에너지 사용량 관리) 실시산 전력량 측정 분석으로 전기사용량 관리’, ‘(실시간 에너지안전사고 관리) 이상 징후(과전류, 누설전류 등) 발생 시 SMS 등으로 안전담당자 및 사용자에게 현황을 자동으로 알리며 조건기반으로 행동 요령을 제공하여 골든타임 내에 조치를 위하도록 지원(관제분석보고서)’ 등 내용이 담겼다.

 

이 내용 모두 특정 업체의 제품 소개서와 토씨하나 다르지 않다.

 

일반적인 요구사항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특정 업체를 염두에 둔 제안요청서라는 의심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대해 인천스마트시티㈜ 관계자는 “해당 업체 뿐 아니라 인천시와 관련이 있는 업체끼리 경쟁이 심하다. 그래서 공정성을 위해 조달청에 맡겨 진행하고 있다”며 “지적 사항에 대해서는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월 신포국제시장 닭강정 점포에서 불이 나 소방대원 등 인력 55명이 출동해 30여 분만에 껐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점포 내부가 불에 타는 재산 피해가 컸다.

 

지난 2023년 3월에는 동구 현대시장에서 방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점포 205곳 중 70곳이 불에 타 12억 원이 넘는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상인들은 삶의 터전을 잃었고, 다시 문을 여는 데까지 1년 3개월이 걸렸다.

 

[ 경기신문 / 인천 = 정민교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