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오늘건강' 앱에서 어르신 맞춤 폭염 대응 요령을 안내한다.
26일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이날부터 날씨에 따른 위험성을 알려주는 기상청 영향예보 정보를 '오늘건강' 앱에 자동으로 연계해 폭염 현황에 따른 대응 요령을 이해하기 쉬운 그림 형태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응급실 감시체계 발생통계를 보면 지난해 온열질환자의 30.4%가 65세 이상으로 나타나 폭염 등 이상기후에 대한 어르신 건강 위험 대비가 중요해지고 있다.
행정안전부, 기상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이뤄지고 있는 폭염 영향예보는 반복적으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며 노인층만이 아닌 전 국민을 대상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이에 복지부 등은 현재 약 12만 명의 어르신이 이용 중인 보건소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 앱 '오늘건강'을 통해 일상 활동을 일찍 시작하는 어르신들의 생활 습관에 맞춘 오전 7시 어르신 맞춤 폭염 대응 요령을 자동 발송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영향예보는 같은 날씨에서도 때와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영향을 상세한 기상정보와 함께 전달하는 것이다.
폭염 영향예보의 경우 '관심'(일최고체감온도 31도, 2일 이상 지속), '주의'(일최고체감온도 33도, 2일 이상 지속), '경고'(일최고체감온도 35도, 2일 이상 지속), '위험'(일최고체감온도 38도, 1일 이상 지속) 등 4단계로 분류한다.
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이같은 영향예보를 '오늘건강' 앱에 자동 연계해 이날부터 어르신 맞춤 폭염 대응 요령을 이해하기 쉬운 그림 형태로 제공할 방침이다.
곽순헌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올해 폭염에 대비해 보건소의 업무 부담 없이 기상청의 데이터와 연계해 건강관리정보의 자동제공 체계를 구축했다"며 "폭염뿐만 아니라 겨울철 한파 등 향후 기후 위기 상황에서도 어르신 건강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겠다"고 했다.
김헌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원장은 "'오늘건강' 앱 활용 어르신 폭염 대응 서비스는 복지부와 기상청,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협업으로 이뤄진 서비스"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필요한 곳에 제공할 수 있는 공공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속해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장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