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이뤄진 관세 협상과 관련해 유정복 인천시장이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 나섰다.
유 시장은 19일 수출 관련 유관기관들과 함께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 회의를 열었다.
지역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와 지원 강화 및 수출 판로 다변화 등 종합적인 대응 전략을 세운다는 취지다.
이날 회의에서는 비상대응 전담 회의 추진 상황 점검이 이뤄졌다. 이어 수출기업 동향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후 향후 대응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회의에는 시를 비롯해 지역 내 수출기업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너셈㈜, ㈜이너트론과 함께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센터장 최태림)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청장 강해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인천지역본부(본부장 모혜란) ▲인천상공회의소(회장 박주봉) ▲인천테크노파크(원장 이주호) ▲한국무역협회 인천지역본부(본부장 심준석) ▲KOTRA 인천지원본부(본부장 김삼수) ▲한국무역보험공사 인천지사(지사장 고정환) 등 기관 8곳이 참여했다.
김진태 시 경제산업본부장은 관세정보 제공(매일 5000여 기업 대상), 수출기업 간담회(10회 이상), 관세 동향 분석 제공(4회) 등 기업의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추진한 주요 사항들을 설명했다.
또 긴급 경영안정자금 규모를 기존 1500억 원에서 2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수출 다변화 사업 추진과 지역의 주력산업별(품목관세 대상)에 대한 지원 현황 및 지원계획을 소개했다.
최태림 인천경제동향분석센터장은 “이번 관세협상 타결로 일부 불확실성이 해소된 건 긍정적이다. 하지만 협상 결과에 따라 일부 업종에서는 수출기업의 부담 증가와 수출 감소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회의에 참석한 수출기업들은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수출 기업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지원 사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유 시장은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 내 대미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긴급 경영안정자금 추가 지원과 함께 수출판로 다변화 확대 지원 및 주요 산업별 지원사업 예산 증액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TF를 중심으로 생산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지속 발굴해 가겠다”고 덧붙였다.
시는 지난 4월 유 시장 지시에 따라 ‘미국 통상정책 비상대응 TF’를 구성한 바 있다.
그동안 미국의 추가 상호관세 부과 유예와 협상 기간 동안 비상대응 전담반을 중심으로 관세 협상 상황과 수출기업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참여 기관 간 대응 방안도 지속적으로 공유해 왔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