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 기업 부설 식품연구소로 출발한 hy 중앙연구소가 반세기 반세기 연구 성과와 중장기 비전을 공개했다.
20일 hy는 hy 중앙연구소의 프로바이오틱스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1976년 설립된 hy 중앙연구소는 한국 유산균 연구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당시만 해도 발효유 제조를 위해 수입 균주에 의존해야 했지만, 중앙연구소는 20여 년 연구 끝에 한국형 비피더스 균주 ‘HY8001’을 개발하고 이를 떠먹는 발효유 ‘슈퍼100’에 적용했다.
현재 중앙연구소는 국내 최대 규모인 5096종의 균주를 보유하고 있다. 또 124건의 등록 특허와 150편의 논문, 251종의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확보해 소재 개발 역량도 키웠다.
연구는 장 건강에서 전신 건강으로 확장됐다. 피부·체지방 감소 등 기능성을 입증한 7종의 개별인정형 소재를 개발했으며, 최근 개발한 ‘HY7017’은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면역세포(NK세포) 활성과 사이토카인 생성을 확인했다. 해당 균주는 지난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규 건강기능식품 원료(NDI)로 등록됐다.
2026년 설립 50주년을 앞둔 hy 중앙연구소는 연구 패러다임을 ‘마이크로바이옴’과 ‘웰에이징’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여성 건강, 근력 개선 등 10개 분야를 파이프라인으로 삼아 맞춤형 헬스 솔루션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K-프로바이오틱스를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이재환 hy 중앙연구소장은 “불모지였던 국내 유산균 산업을 일군 저력을 바탕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중심의 신성장 연구를 이어가겠다”며 “새로운 50년은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하는 K-프로바이오틱스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