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 쌍령공원 특례사업의 공공기여 형태로 추진되고 있는 쌍령동 맥도날드 앞 교차로 지하차도 건설 계획이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난관에 부딪혔다.
지하차도 건설은 경충대로(시도23호선) 쌍령동 구간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원활한 주행환경을 조성한다는 취지로 추진되고 있다. 계획안에 따르면 쌍령동 467번지 일원에 총연장 450m(진입부·복개부 포함)의 지하차도가 조성되며, 사업비는 약 6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계획이 공개되자 주민 반발이 잇따르면서 사업 추진은 교착 상태에 빠진 상황이다.
주민들은 무엇보다 생활권 단절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지하차도가 들어설 경우 동네가 양쪽으로 갈라져 왕래가 불편해지고, 상권 역시 위축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인근 상가를 운영하는 한 주민은 “지금도 손님이 줄어드는 추세인데, 지하차도가 생기면 발길이 뚝 끊길까 두렵다”며 지역경제 피해를 호소했다.
보행 안전 문제도 반대의 주요 이유로 꼽힌다. 주민들은 차량 속도가 빨라져 보행자 사고 위험이 커지고, 특히 학생들의 등·하교 길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한 주민은 “아이들 손을 잡고 길을 건너는 게 늘 불안하다. 출퇴근이나 주말 혼잡 시간을 제외하면 차량 속도가 빠른데, 여기에 지하차도까지 개통되면 속도는 더 높아져 보행자 사고 위험이 한층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집중호우 시 침수 가능성도 제기된다. 쌍령동 일대는 빗물 유입이 잦은 곳으로 알려져 있어, 오송 지하차도 참사 같은 사고가 재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주민은 “장마철마다 물이 차는 구간에 지하차도를 짓겠다는 건 위험을 키우는 일”이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최근에는 단순히 반대를 넘어 조건부 요구도 등장했다. 일부 주민들은 지하차도를 추진할 경우 구간을 2배 이상 연장해 상부를 전면 복개하고, 그 위를 공원과 도로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지역 환경과 도시 미관을 고려한 차선책이라는 의견이지만, 기존 사업계획을 크게 벗어나는 요구여서 논란은 오히려 확산되는 모습이다.
광주시는 교통혼잡 해소와 주행환경 개선이라는 사업의 취지를 살리면서도, 주민들의 생존권·영업권·재산권 보호 요구를 외면할 수 없어 사업 추진 방향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다양한 반대 의견이 제기되고 있어 해법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쌍령공원 조성사업의 시행사와 협의해 향후 추진 방향을 신중히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오석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