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의 관세정책 변경으로 한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국제우편 서비스가 사실상 멈춰섰다. EMS(국제특급우편) 서류를 제외한 모든 물품 접수가 중단됐으며, 현재 이용 가능한 서비스는 UPS와 제휴한 EMS 프리미엄뿐이다.
26일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EMS 물품 접수가 중단됐다. 하루 전인 25일에는 항공소포 접수가 이미 멈춘 상태라 사실상 일반 국제우편 발송은 차단됐다.
이번 조치는 미국 정부의 새로운 관세 규정 때문이다. 미국은 오는 29일 0시(현지 도착 기준)부터 서류를 제외한 모든 국제우편물에 대해 전자적 세관 신고와 관세 부과를 의무화했다. 하지만 한국은 관련 시스템을 아직 구축하지 못해 물품 접수가 불가능해졌다.
대체 수단인 EMS 프리미엄은 UPS와 제휴해 운영되는 특송 서비스다. 하지만 소형 화물은 오히려 비용이 늘어난다. 인터넷우체국 요금 기준 2kg 물품은 기존 EMS가 5만 9500원이었으나 EMS 프리미엄은 7만 3300원으로 1만 4000원 이상 비쌌다. 반면 7kg 물품은 EMS가 15만 7500원인데 EMS 프리미엄은 12만 9900원으로 2만 7000원가량 저렴했다.
즉 개인이 선물이나 소형 전자기기를 보낼 때는 부담이 커지고, 대량·고중량 화물은 오히려 이익이 될 수 있다.
비용 문제뿐 아니라 서비스 제약도 있다. EMS 프리미엄은 일부 품목을 취급하지 않아 발송이 제한되고, 통관 절차에 따라 배송 소요일 역시 기존 EMS보다 길어질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소형 물품을 주고받던 소비자들의 불편이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슷한 조치는 해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중국과 홍콩은 지난 4월부터 미국행 국제우편을 중단했고, 태국은 8월 22일, 싱가포르는 25일부터 접수를 제한했다. 프랑스·스위스·덴마크·벨기에 등 유럽 주요국도 미국행 국제우편을 차단하거나 제한 중이다.
우정사업본부는 고객 부담을 줄이기 위해 EMS 프리미엄 요금 인하에 나섰다. 이날부터 9월 30일까지 모든 구간 요금에서 1만 원을 할인 적용한다.
우본 관계자는 “1~2개월 내 기존과 유사한 품질과 가격으로 서비스를 복구하겠다”며 “관세 대납업체와 솔루션을 연계해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UPS와 협의해 현행 EMS 프리미엄보다 저렴한 신상품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