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준공 1년을 앞둔 성사혁신지구는 현재 대규모 공실 사태로 인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하고 있다”
고양특례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해련 의원(정발산동, 중산1·2동, 일산2동)은 준공 1년을 앞둔 성사혁신지구(창조혁신캠퍼스성사)의 대규모 공실 사태로 인해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4일 김 의원의 자료를 종합하면 지난 8월 현장 조사 결과 성사혁신지구 내 산업지원시설 중 7층, 14층, 17층 정도가 절반 정도 공실이 채워졌을 뿐, 나머지 공간은 대부분 여전히 공실 상태다.
특히 상업시설 역시 1층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일부가 입점했을 뿐, 대부분의 공간이 여전히 공실로 남아있어, 자족 기능과 일자리 창출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김 의원은 고양시 내부 자료를 바탕으로 준공 후 1년간 세금 보전 총액을 추산한 결과, 이미 집행된 보증금과 임차료, 관리비 등 시 보전 비용은 약 114억 원에 달하며, 연간 유지비 역시 63∼70억 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해련 의원은 “공실 사태가 2034년까지 지속된다면 향후 부담액이 700억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돼 시민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면서 “성사혁신지구 사업이 공공 리츠 구조로 설계돼 있어 고양시는 운영 손실을 직접 부담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양시가 자족도시로 제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자족 공간을 늘리는 데 집중할 것이 아니라, 이를 어떻게 채울지에 대한 정책 방향·비전·실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