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수도권-지방 아파트값 격차, 17년 만에 최대

수도권 인구 집중·규제 맞물려 양극화 심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축소됐다가 다시 확대
한은 “다주택자 규제가 수도권 쏠림 부추겨”
전문가 “지방 규제 완화·기업 유치 등 병행해야”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 가격 격차가 약 17년 만에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인구 집중과 다주택자 규제 등이 맞물리며 수도권 아파트값이 지방보다 빠르게 오른 결과다.

 

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 지수는 수도권 152.0, 지방 105.2를 기록했다.


2017년 11월을 100으로 설정한 이 지수에서 수도권의 지방 대비 비율은 1.4449로, 2008년 8월(1.4547) 이후 17년 만의 최고치였다. 즉, 수도권 아파트값이 지방보다 44% 이상 높은 수준이라는 의미다.


수도권-지방 아파트값 차이는 2008~2009년까지 확대됐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경기 침체로 점차 축소됐다.


그러나 2015년을 기점으로 다시 벌어지기 시작했고, 코로나19 이후 회복기에는 잠시 둔화됐다가 2023년 이후 다시 격차가 커지고 있다.

 

최근 서울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강남·용산 등 주요 지역의 집값이 급등한 반면, 비수도권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하락세를 보이며 양극화가 심화됐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제력 격차 확대, 인구 집중 등 구조적 요인에 과거 주택경기 부양 정책이 더해지면서 주택가격 양극화가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한국경제학회가 발표한 ‘지역 간 주택경기 양극화 현상 분석’ 논문에서도 다주택자 규제가 수도권 중심의 집값 상승을 부추겼다는 결과가 나왔다.


더미변수 분석 결과, 정부가 다주택자 규제를 강화한 시기 수도권 아파트 가격(KB매매가격지수 기준)은 0.912% 상승한 반면, 지방은 0.075% 하락했다.

 

이근영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논문에서 “다주택자 규제 강화 기간 수도권 집값은 오르고 지방은 하락해 주택경기 양극화가 심화됐다”며 “투자자들이 불이익을 피하려고 상승 가능성이 높은 수도권 주택으로 몰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금리 인상기나 경기 침체기에는 지방 주택 보유 유인이 사라지기 때문에 지방 주택가격이 더 크게 떨어진다”며 “현재처럼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강한 상황에서 양극화를 완화하려면 지방 다주택자 규제 완화, 공공기관 추가 이전,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유도 등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가격 격차가 단기간에 좁혀지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인구와 일자리가 수도권에 집중된 한, 지방 주택 수요는 구조적으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정책과 시장 흐름이 동시에 움직이지 않으면 지역 간 격차는 더욱 고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