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수도권 아파트 ‘초양극화’ 심화…강남·과천 급등, 평택·이천은 하락

고가 지역 중심으로 거래 회복세…외곽은 관망
입주 10년 이내 신축·재건축 단지, 상승률 주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전반적으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지역·연식·평형별로 가격 격차가 커지며 ‘초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는 지난해와 올해 3분기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서울 강남·서초, 경기 과천 등 고가 지역은 급등세를 보인 반면 외곽 지역은 하락세가 뚜렷했다고 13일 밝혔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해 대비 올해 3분기 평균 6억 2287만 원 상승(22.8%↑) 하며 가장 큰 폭의 가격 상승을 기록했다. 서초구도 5억 3861만 원(21.2%↑) 올랐고, 경기 과천시는 4억 5149만 원(27.6%↑) 상승하며 수도권 내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반면 경기도 외곽 지역은 오히려 가격이 떨어졌다. 평택시는 평균 2523만 원(-8.0%), 이천시는 2231만 원(-8.6%) 하락하며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수도권 내에서도 지역별 온도 차가 극명하게 갈린 셈이다.

 

연식별로 보면 입주 5~10년차 준신축 아파트가 평균 2억 4127만 원(13.9%↑)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30년을 초과한 노후 아파트 역시 재건축 기대감에 힘입어 평균 2억 3322만 원(13.8%↑) 상승했다.


평형대별로는 서울의 50㎡ 미만 소형 아파트가 평균 3425만 원(4.0%↑) 오르는 데 그쳤지만, 50㎡ 이상 중형·대형 평형은 모두 12% 이상 상승하며 중대형 중심의 오름세가 뚜렷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최근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전반적인 상승 기조에 들어선 것은 사실이나 오름세의 수준과 폭이 지역, 연식, 평형별로 극명하게 갈리는 '초양극화' 장세가 펼쳐지고 있다"며 "현금 가치 하락으로 인해 '똘똘한 한 채'인 우량 자산으로 수요가 몰리는 다차원적 양극화는 향후 자산 격차를 더욱 빠르게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