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고려대·KIST, ‘하이드로젤 기반 EV 분리’ 기술로 정밀의학 한걸음 더

기존 초원심분리 한계 넘어, 고가 장비 없이 빠르고 간편하게 분리 가능
다양한 생체액서 고순도 소포체 확보, 정밀의료·신약개발 활용 기대

 

고려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생체액에서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세포외 소포체(EV)를 고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하이드로젤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세포외 소포체(EV)는 세포 간 신호 전달과 다양한 생체 지표 전달 기능을 지니고 있어 암, 신경 질환, 대사 질환 등 주요 질병의 진단 바이오마커와 치료제 또는 치료 전달체로 활용되는 나노 크기의 소포체다.

 

최근 세포외 소포체가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 주목받으면서 생체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초원심분리와 같은 기존 기술은 고가의 장비, 복잡한 전처리 과정, 낮은 처리 효율 등의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드로젤 재료를 얼린 뒤 빛을 비춰 굳히는 방식으로 약 400나노미터(nm) 크기의 미세 구멍 구조를 구현했다.

 

이로써 형성된 하이드로젤은 그물처럼 얽힌 3차원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투과한 세포외 소포체를 효율적으로 선택적으로 포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도 혈액, 소변, 침, 우유, 세포 배양액, 위암 환자 복수 등 다양한 생체액에서 세포외 소포체를 빠르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암, 신경퇴행성 질환, 대사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과 맞춤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 정밀의료·신약개발·체외진단 등 바이오산업 전반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낙원 교수와 봉기완 교수는 “향후 연구자나 산업체가 복잡한 장비나 특별한 교육 없이 간단한 공정만으로 고순도의 세포외 소포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부가가치 바이오산업의 실용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KIST 강지윤 박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 세포외 소포체 분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해 효율성, 접근성, 대량 처리, 사용자 맞춤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강점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