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산불진화차량들의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인천시 정보공개포털 통계에 따르면 지역의 최근 5년간 산불 발생 건수는 모두 48건이다.
나열하면 2020년 14건, 2021년 8건, 2022년 8건, 2023년 11건, 지난해 7건 등으로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10개 군·구 중 동구를 제외한 9개 지역에서 산과 봉우리 등 87개가 있어 사실상 산불 위험 지역으로 꼽히는 이유다.
문제는 이들 9개 군·구 중 계양구를 제외한 8개 곳에서 산불진화차량의 내용연수(내구연한)가 기준을 초과한 차량들이 배치돼 있다는 것이다.
인천소방본부가 파악한 지역 산불진화차량은 소방서별로 미추홀구 1톤급 1대, 남동구 2.5톤급 2대, 부평구 1톤급 2대, 계양구 1.5톤급 1대·2.5톤급 2대, 중구 1톤급 3대, 연수구 1.5톤급 2대·2.5톤급 1대, 서구 1톤급 1대·2.5톤급 2대, 강화군 1톤급 3대·2.5톤급 1대, 옹진군 1톤급 7대·2.5톤급 3대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남동구 1대(2.5톤급), 부평구·중구·미추홀구·강화군·옹진군 5대(1톤급) 산불진화차량이 연식을 넘겼다. 특히 서구는 2.5톤급 차량 2대가 모두 내구연한을 훌쩍 넘긴 산불진화차량들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실상 산불 진화에 손을 놓은 셈이다.
인천시 공무용 차량 관리 규정 제8조에서는 내용연수를 초과하거나 사고로 인한 차량 파손 발생 시 수리비가 차량 가격을 넘으면 당장 교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 전용차량이 12만㎞가 넘어서도 교체대상이 된다.
시 관계자는 “기초단체에서 예산을 들여 차량을 구입 이뤄지다보니 지자체별로 수리가 불가능할 때까지 사용하고 있고 있는 것으로 파악 중”이라며 “산불 대응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차량 관리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승규 건양대 재난안전학과소방학과 교수는 “산불진화차량 구입 등은 기초단체 예산으로만 충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차량이 오래될수록 고장나거나 부품 등에 문제가 생기면 차량운행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현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