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11.9℃
  • 맑음강릉 14.2℃
  • 맑음서울 12.3℃
  • 맑음대전 14.2℃
  • 맑음대구 15.6℃
  • 맑음울산 15.5℃
  • 맑음광주 14.0℃
  • 맑음부산 16.7℃
  • 맑음고창 12.4℃
  • 맑음제주 16.7℃
  • 맑음강화 10.5℃
  • 맑음보은 13.0℃
  • 맑음금산 14.1℃
  • 맑음강진군 15.3℃
  • 맑음경주시 15.5℃
  • 맑음거제 14.0℃
기상청 제공

[건강상식] 팔다리 힘 빠지고 시야장애가 나타난다면?…다발성경화증 가능성

뇌·척수·시신경 등 중추신경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20~40대 여성에서 높은 발생률 보여
위도 높을수록, 비타민D 낮을수록 발병 위험 커져

 

 

다발성경화증은 뇌와 척수, 시신경 등 중추신경계를 공격하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이다.

 

면역체계가 자기 신경을 적으로 착각해 공격하면서 신경이 손상되고 다양한 신체 증상과 장애가 나타난다. 주로 20~40대 젊은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여성에게서 더 흔하다.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질환은 백인에게 흔하고 아시아인이나 흑인에게는 드문 편이다. 특히 위도 45~60도 지역에서 발병률이 높아 적은 일조량과 비타민 D 결핍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청소년기 비만, 흡연, 음주 등도 발병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상은 매우 다양하다. 팔이나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 시야장애, 복시(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현상), 안면마비, 실어증 등이 대표적이다.

 

척수염이나 시신경염이 동반되기도 하며 피로감과 인지 기능 저하, 우울감,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경우도 많다.

 

질환은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재발성 경과를 보인다. 초기에는 호전되다가 반복된 재발로 신경 손상이 누적되면 시력 저하 등 영구적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다.

 

다른 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정확한 감별 진단이 중요하다. 따라서 신경과 전문의에 의한 병력 청취, 신경학적 검사, 뇌 MRI, 뇌척수액검사, 유발전위검사, 혈액검사 등을 종합해 다른 질환들과 감별해야 한다. 

 

이 질환은 완치는 어렵지만 조기 진단과 꾸준한 치료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치료는 급성기 치료와 질병조절치료로 나뉜다.

 

급성기에는 단기간 고용량 스테로이드로 염증을 억제하며, 반응이 없으면 혈장교환술을 시행한다. 질병조절치료는 재발 빈도를 줄이고 신경학적 장애의 진행을 늦추는 데 초점을 두며, 다양한 주사제·경구제가 사용된다.

 

백설희 고려대안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다발성경화증은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꾸준히 치료하면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이라며 “최근 치료제 발전으로 더 나은 치료 환경이 마련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 많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