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연간 총량 목표를 넘어서면서 연말을 앞두고 대출 창구가 잇따라 닫히고 있다. 주택거래 회복과 신용대출 수요가 겹치며 총량 관리가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규제 기조가 이어질 경우 내년 초에도 대출 문턱이 쉽게 낮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정책대출 제외)은 이달 20일까지 7조 3795억 원으로 집계됐다. 당초 금융당국에 제출한 올해 증가 목표치(5조 9493억 원)를 24% 초과했다. 은행별 초과율은 9.3%에서 많게는 59.5%까지 차이를 보였다. 5대 은행까지 확장하면 NH농협은행만 증가액이 목표 이하로 남아 여유가 있는 상태다.
총량 초과가 현실화되자 은행들은 비상 조치에 들어갔다. KB국민은행은 22일부터 비대면 주택구입용 주택담보대출과 타 은행 대환대출(주담대·전세·신용) 접수를 중단했으며, 24일부터는 대면 창구에서도 올해 실행분 주택구입 자금 대출을 취급하지 않는다. 하나은행도 25일부터 올해 실행분 주담대·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제한한다.
신한·우리은행은 공식 중단 조치는 없지만 수요가 몰릴 경우 동일한 조치를 검토 중이다. 우리은행은 이미 영업점별 주담대 한도를 월 10억 원으로 묶고, 신용대출은 지난 7일부터 대출 비교 플랫폼 유입을 차단한 상태다.
이처럼 대출 제한이 이어지지만 가계대출 증가 속도는 오히려 빨라지고 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20일 기준 769조 2738억 원으로, 이달 들어 2조 6519억 원 증가해 이미 10월 증가폭(2조 5270억 원)을 넘어섰다. 하루 평균 증가액 1326억 원은 7월 이후 가장 크다.
주택담보대출은 1조 1062억 원 늘어 전월보다 증가폭은 줄었지만 증가 속도는 더 빨라졌다. 특히 신용대출이 1조 3843억 원 늘어 2021년 7월 이후 최대 월 증가폭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담대 제약으로 부동산 계약금 등 목적에 신용대출을 활용하는 경우가 늘었고, 국내외 증시 자금 수요까지 겹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풍선효과’로 제2금융권·카드론 등 고금리권으로 수요가 이동할 경우 가계 신용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시장 과열을 방치할 수 없다”며 규제 기조를 재확인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리·물가·부동산 변수가 겹친 상황에서 가계대출이 과열될 경우 향후 충격이 더 커질 수 있어 조기 진화가 필요하다”며 “소비자 피해 최소화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권에서는 내년 초에도 상황이 이전과 달리 반복될 수 있다고 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거엔 새해 총량 목표가 정해지면 1~2월엔 숨통이 트였지만, 현 기조가 유지되면 내년 초 완화 폭도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공혜린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