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청정해역 조성 사업을 위한 국비를 확보했다.
27일 시에 따르면 내년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국비로 전년대비 4억 3600만 원이 증가한 120억 원이 확정됐다.
이에 따라 최근 3년간 해양쓰레기 관련 국비 예산은 지난해 98억 원, 올해 112억 원에 이에 꾸준히 증액돼 왔다.
시는 내년 해양쓰레기 정화·예방 사업 예산을 6대 분야로 나눠 추진할 계획이다.
나열하면 ▲해안·부유(하천·하구)쓰레기 정화사업 78억 5000만 원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22억 6000만 원 ▲취약해안 폐기물 대응사업 5억 9600만 원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사업 2억 원 ▲도서쓰레기 정화운반선 운영지원 10억 8000만 원 ▲시민참여 해양쓰레기 예방활동 지원 2000만 원 등이다.
무엇보다 시는 확보한 예산을 우선적으로 옹진군 서해5도 도서지역 및 인근 해역 정화활동에 투입할 계획이다. 서해5도는 외국에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가 많고, 광범위한 해역에서 수거한 폐기물을 육상으로 운반·처리해야 하는 부담이 큰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또 주민 참여 중심의 해안·부유쓰레기 정화사업을 확대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어업인 대상 예방교육과 시민단체의 해양환경보호 활동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시는 최근 3년간 매년 약 5000톤 규모의 해양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거하고 있으며, 올해 10월 기준 누적 수거량은 4726톤이다. 연말까지 도서·연안·하구 지역 정화 활동을 집중 추진해 연간 5000톤 이상 수거 목표 달성을 계획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서해5도를 포함한 인천 연안의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정화활동을 지속 확장하고, 시민·어업인·민간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정화체계를 더욱 견고히 구축하겠다”며 “깨끗한 인천 앞바다 조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과 지원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정진영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