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선출직 자치단체장이 취임하면서 자치단체장의 이름을 건 체육행사가 지나치게 많아져 선심성 행정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체육행사가 사실상 사전 선거운동으로 활용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뒤따르고 있어 자치단체의 체육행사를 둘러싸고 논란이 예상된다.
23일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이하 인천연대)에 따르면 인천연대가 인천시 산하 10개 구·군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자치단체장의 이름을 걸고 진행하는 행사는 무려 92개로 모두 체육행사(바둑 포함)였으며 이 중 민선 자치단체장 취임 이후 생겨난 행사는 총 63개로 전체 행사의 69%에 이른다.
또한 기초자치단체별로는 부평구가 18개로 가장 많으며 남구와 강화군이 13개, 서구가 12개, 남동구가 10개 순이었으며 계양구와 중구가 8개, 연수구와 동구가 5개 등으로 그 뒤를 이었다.
다만 도서지역인 옹진군만이 자치단체장의 이름을 건 행사가 한 개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개 구·군청이 92개 체육행사에 지출하는 예산은 연 3억6천여만원에 달해 지나친 선심성 행사라는 지적이 일고있다.
실제로 부평구의 경우 민선자치단체장 이후 족구, 탁구, 스쿼시, 합기도 등 무려 14개의 행사가 새롭게 생겨났다.
이는 부평구의 18개 행사중 78%에 해당하는 것으로 행사보조금도 총액 8천만원의 73.4%인 5천860여만원이다.
더욱이 박윤배 현 구청장 취임 이후 생겨난 행사만도 야구, 농구, 바둑 등 7개에 달해 재선을 염두에 둔 민선 자치단체장이 체육동호회 등의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이를 선거에 이용하려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인천연대 장금석 사무부처장은 “바둑 대회의 경우 박윤배 구청장이 바둑 마니아로 알려져 단일 대회로는 축구대회 다음으로 많은 800만원(18개 행사보조금의 10%)의 보조금이 지원돼 이를 간접적으로 입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서구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주관하는 행사가 4개나 되고 행사 모두 민선 자치단체장이 들어서면서부터 생겨났으며 그 중 수영대회와 인라인롤러대회는 현 이학재 구청장 임기 중에 시작됐다”고 말했다.
인천연대는 일반 보조금 신청사업에 사회단체보조금이 지원되었을 경우 정해진 양식에 맞게 사업추진 결과보고서와 정산서를 제출하는 것에 비해 이례적이라며 체육행사의 금액 관리 허술을 지적했다.
인천연대 관계자는 "이들 행사가 사실상 선심행정의 표본이며 직위를 이용한 사전선거운동의 성격이 짙다"며 "이들 행사에 대한 결산 보고서를 면밀한 분석해 보조금 외에 업무추진비 등 별도의 예산이 이들 행사에 추가로 지원되었는지 조만간 밝히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