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리 중학교 배정을 요구하며 개학 첫날부터 무더기 등교거부 사태가 벌어진 용인 서천초등학교 문제가 수원 영통지역 주민들과 용인지역 주민들의 갈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31일 수원교육청 등에 따르면 수원 영통지역 초등학교 학부모들은 '영통지구 연합초교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1일 오전 수원교육청 앞에서 영통거주 학생이 모두 지역내 중학교에 배정할 것을 요구하는 집회를 벌인다.
영통지구 연합초교 대책위에는 영통지구 영일초, 영동초, 신영초, 영통초, 신성초, 영덕초, 청명초, 황곡초, 잠원초, 태장초 등 10개 초교가 참가하고 있으며 각 학교 학부모대표들이 공동대표로 있다.
이들은 용인 서천리 및 농서리 지역에서 거주하는 학생들은 용인지역 중학교로 배정되야 한다는 입장이다.
연합초교 대책위 관계자는 "용인지역 학생들이 영통지구내 중학교에 배정될 경우 영통지역 학생들이 지역내 중학교가 아닌 원거리 중학교에 배정될 우려가 크다"며 "용인거주 학생들이 수원지역 중학교로 배정받으려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수원교육청이 영통지역 4곳의 중학교 가운데 1곳을 공동학구로 만들어 용인 서천초에서 1순위로 지망할 수 있도록 하는 것까지는 양보할 수 있다"며 "그러나 용인주민들이 4곳의 중학교 모두를 공동학구로 만들어 1순위로 지망하려는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용인지역 주민들은 아이들을 생각하지 않는 어른들의 지역이기주의적 발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용인지역 학부모 대책위 관계자는 "중학교가 의무교육인데도 불구하고 관내 학생이 아니라는 이유로 배제하려는 것은 전형적인 지역이기주의로 잘못된 일"이라며 "공동학구라도 서천초가 수원관내 학군으로 포함된다면 수원지역의 어떤 중학교라도 1순위로 지원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또 "아이들은 어떤 경우라도 교육 앞에서 평등해야 한다"며 "영통지역 학부모들이 자신들 아이만 생각하지 말고 용인지역 아이들도 평등하고 공정하게 중학교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도와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수원교육청 홈페이지 등에도 양 지역 주민들의 서로 비난하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대해 한 학부모는 "수원과 용인지역 주민들이 이렇게 서로 반목하고 있는데 양 지역 학생들이 한 중학교에 배정될 경우 학생들도 서로 편이 갈라지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날 서천초에는 전체 1022명 정원 가운데 35.7%에 불과한 365명만 등교했을뿐 657명이 학교에 나오지 않았다.
한편 수원교육청은 서천초의 중학교 배정 문제로 양 지역간 갈등이 더 커지는 것을 막기위해 9월7일께 중학교배정계획을 행정예고키로 했다.
중학교배정계획이 행정예고되면 20일간 학부모 등으로부터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배정계획을 최종 확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