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도발위협으로 침체됐던 백령도와 연평도 등 인천 섬지역 관광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옹진군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잦아든데다 이번 달 들어 섬을 찾는 관광객이 늘어 다음 달 말까지 여객선 예약이 모두 끝났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2일 서해5도 여객선 운임 70% 지원 발표 후 관광객이 크게 늘어 올해 운임 보조금으로 책정된 14억원(시비 7억·군비 7억)의 예산이 다음말이면 바닥날 전망이다. 앞서 북한의 도발위협이 극에 달한 지난 3월과 4월 서해5도를 찾은 관광객은 각각 7천262명과 8천명으로 증가율 10.2%(738명)에 그쳤으며 남북관계 경색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지난 3월에는 전년대비 69%나 급감했다. 또한 지난 3월 서해 5도 운항 여객선 예약 6천289건 중 3천864건만 승선표가 발매되고 나머지는 북한의 도발위협 등으로 인해 취소 또는 연기됐다. 그러나 북한의 도발위협이 주춤해지고 군의 타 시·도 관광객에 대한 지원율이 50%에서 70%로 확대되며 다음달 말까지 예약이 모두 완료됐다. 여객운임의 대폭적인 할인으로 서해5도를 방문하는 여행객들은 연평도 2만9천500원, 백령도 4만500원, 대청도 3만8천400원 등 정상요금
상업·업무용지 확대 변경 인천 영종도 운북동 일대를 국제복합도시로 조성하는 미단시티 개발사업이 외자 유치를 위해 전면 재조정된다. 인천도시공사는 장기적인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라 미단시티 2·3단계 구역내 대형 평수의 주거지역을 소형으로 줄이고, 상업·업무용지를 늘려 외자유치에 주력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특수목적법인 미단시티개발의 개발 대상부지는 총 181만5천㎡로 이 가운데 60%에 해당하는 108만9천㎡는 인천도시공사 소유이다. 도시공사는 당초 2015년부터 이 땅을 대형 평수의 아파트 중심인 주택단지로 조성할 예정이었으나 불확실한 부동산 경기 등을 우려해 계획을 바꾸기로 했다. 또한 미단시티개발이 맡은 나머지 공모구역의 경우도 용도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해 공동주택의 대형 평수를 소형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3단계 구역에 대한 개발·실시계획 변경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는 대형 아파트를 중소형으로 전환하고, 땅을 일부 남겨 기업이나 상업시설, 외국기업을 유치하는 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인천도시공사 김명환 투자유치처장은 “현재로서는 아파트를 지어도 분양이 안될 것으로 예상돼 규모를 조정하게 됐다”며 “규모조정을 통해 남는 땅은 상
경인교대 인천캠퍼스의 기능 이전을 반대하고 정상 운영을 촉구하는 시민 모임이 만들어졌다. 인천시 계양구는 경인교대에서 계양의제21실천협의회를 주축으로 한 시민·사회단체와 시민 등으로 구성된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정상화를 위한 계양구민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출범식이 열렸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경인교대 1·4학년생은 인천캠퍼스, 2·3학년생은 안양에 있는 경기캠퍼스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가운데 내년부터는 경인교대 1학년생만 인천에 남고 2∼4학년생은 안양에서 수업을 받게 된다. 국립학교 설치령에는 이 대학의 교육시설 일부를 경기도에 둘 수 있게 돼 있을 뿐 경인교대의 소재지는 인천이다. 이에 대책위는 “소재지가 인천으로 돼 있는데도 3개 학년의 캠퍼스를 다른 도시로 옮기는 것은 역사와 전통을 버리고 지역 정서를 외면하는 비정상적인 행위”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대책위는 이전 움직임이 지속될 시 경인교대 총장실 및 교육부를 방문, 반대 뜻을 전달하고 운영 정상화를 촉구할 예정이다. 한편, 인천시의회도 지난 3월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기능정상화 촉구 건의안을 통과시켰다.
국립대 출범이후 새롭게 구성된 ‘인천대학교 직원노동조합’이 27일 오전 교수회관 1층 다목적실에서 노조 창립총회 및 발대식을 가졌다. 노동조합은 지난 2월 직원들의 권익향상과 근무여건 개선, 대학 발전 기여를 목적으로 설립돼 현재 121명의 회원들이 가입돼 있다. 이날 열린 창립총회에서는 김형기 노조위원장을 비롯해 최성을 총장, 김교흥 인천시 정무부시장, 장명애 인천시 공무원노조위원장 등 주요 인사들과 직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형기 위원장은 “ ‘줄탁동기’란 사자성어처럼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며 “노조임원과 조합원이 하나가 돼 발전적인 노동조합을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다.
인하대는 지난 23일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한국항공대, 미국 남캘리포니아대(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프랑스 에어버스사와 ‘에어버스 공학연구소(AIER:Airbus Institute For Engineering Research)’ 설립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이번 협정을 바탕으로 에어버스사는 연구에 필요한 기금을 출연하고 인하대, 한국항공대, USC가 공동으로 에어버스 공학연구소(AIER)를 설립해 항공우주분야를 비롯한 선진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협정 체결식에는 조양호 인하학원 이사장, 박춘배 인하대 총장, 여준구 한국항공대 총장, 맥스 니키아스(C.L. Max Nikias) USC 총장, 야니스 요토스(Yannis Yortsos) USC 공과대학장, 장 프랑소와 라발(Jean-Francois Laval) 에어버스 아시아지역 부사장(Excutive Vice President for Sales-Asia, Airbus) 등이 참석했다.
대한족구협회(KJGA)는 오는 12월5일부터 8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세계 족구 국가 대표들이 참가하는 ‘Korea JOKGU·World Championsip 2013(이하 세계족구대회)’를 개최한다. 26일 족구협회에 따르면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스위스, 캐나다, 브라질, 중국 등 유럽과 중남미, 아시아 등 세계 총 32개국이 참여하는 세계족구대회를 오는 12월 5일부터 8일까지 4일간 올림픽공원 핸드볼경기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게족구대회는 3인조 및 4인조로 토너먼트 방식으로 세계 각국에서 모두 510명(선수단 450명, 임원 60명)의 선수단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대회 공지는 오는 7월 초 UNIF(국제풋넷연맹) 및 협회 영문 홈페이지에 게재, 홍보된다.
입주가 한창인 영종하늘도시에 인천공항철도 영종역이 신설돼 서울역까지 30분 이내 거리로 단축되며 지역주민들의 대중교통편의를 비롯한 지역개발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시는 한국철도시설공단, 코레일공항철도㈜와 공항철도 영종역 건설을 위한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고 LH공사, 인천도시공사, 미단시티개발㈜에서 사업비 311억원을 투입, 오는 9월 착공해 내년 12월 개통할 예정이다. 그동안 공항철도 인천구간은 계양역, 검암역, 운서역, 화물청사역, 인천공항역 총 5개역으로 운영하고 있어 영종지역 주민들이 공항철도를 이용하는데 상당한 불편을 겪었으나 이번 영종역의 협약 체결로 본격적인 사업이 착수됨에 따라 영종지역 주민들의 오랜 숙원을 해소하게 됐다.
인천시내 화물취급장과 보관 및 집배송시설이 남부와 북부권역에 확대 재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는 최근 ‘인천시 지역물류기본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국제 및 지역물류체계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이와 같은 계획을 2021년까지 추진할 방침이라고 26일 밝혔다. 2021년까지 인천지역내 물류시설규모는 총 72만3천㎡로 기존 시설부지(36만1천㎡)외에 36만2천㎡를 추가조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존에 남부권, 북부권, 동부권으로 계획된 물류시설은 남부권과 북부권으로 재배치하는 방향으로 제시됐다. 제2외곽순환도로의 개설을 통해 광역간선망과 도시내 간선망과의 연계성을 높여 항만배후수송망의 확충 필요성과 함께 인천 신항 철도인입선의 조기 건설이 필요하다는 결론도 나왔다. 또 물류시설 확충 및 기능개선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로 국제물류거점 조기 확충, 지역물류유통단지 조성, 화물차 주차장 및 공영차고지 건설, 화물차 복합휴게소 개선 및 확충, 인천항 부두기능 정비 방안, 구월도매시장 이전사업 등이 지적됐다. 공동물류센터를 현재 1곳에서 4개로 늘리고, 화물자동차 휴게소도 현재 2곳에서 5곳으로 확대토록 했다. 물류전문인력은 매년 150명 이상 배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