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경기지역 소비자물가가 1월에 이어 2%대 가까운 상승률을 이어갔다. 신선식품 물가 상승률은 한 자리대로 떨어졌지만,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은 4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영향으로 풀이된다. 5일 경인지방통계청의 ‘2월 경기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올랐다. 지난해 8월 0.4%였던 경기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 이후 4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을 이어가다 해가 바뀐 올 1월에는 2.0%로 4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에도 1월과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도 서비스물가는 2.1% 상승해 전체 물가를 1.18%p, 농·축·수산물은 4.5% 올라 전체 물가를 0.34%p 각각 끌어올렸다. AI 영향으로 2월 도내 달걀값은 1년 전보다 42.9% 오르며 지난달(59.5%)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당근(100.0%), 귤(65.1%), 오징어(41.8%) 등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공업제품 중 석유류는 13.6% 뛰어 전체 물가를 0.56%p 올렸다. 이에 공업제품 가격은 작년 같은달 보다 2.4% 상승하며 2012년(2.8%)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반면 전기·수도·가스는 8.4%
지난해 가계가 세금을 내는 데 쓴 금액이 평균 200만원에 육박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의 경상조세 지출은 월평균 14만3천252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경상조세는 근로소득세, 사업소득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 정기적으로 부과되는 세금으로 대부분 국세다. 지방세 비중이 높은 비경상조세 지출은 부동산 거래 침체 등으로 같은 기간 월평균 1만6천925원에서 1만5천509원으로 8.4% 감소했다. 비경상조세는 양도소득세와 부동산 취·등록세 등 주로 부동산과 관련해 일시적으로 부과되는 세금이다. 지난해 경상조세와 비경상조세를 합한 가계의 전체 조세지출액은 전년 대비 2.1% 늘어난 월평균 15만8천761원으로, 연 190만5132원에 달했다. 지난해 기준 가계소득에서 조세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6%였다. 조세지출 부담액과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모두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여기에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등 준조세를 더하면 가계의 부담은 더 커진다. 준조세 부담도 사상 최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가계는 연금에 월평균 13만320원, 고용보험 등 각종 사회보
지난달에도 전국의 아파트값 매매, 전세가격 안정세가 이어졌다. 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아파트값은 0.01% 오르며 전월(0.02%)에 비해 오름폭이 둔화했다. 수도권의 아파트값이 0.02%로 1월(0.01%)보다 소폭 상승폭이 커졌지만, 지방은 0.01%로 전월(0.02%)보다 감소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11·3대책 이후 급락했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이 다소 회복세를 보이면서 0.05%로 1월(0.03%)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부산은 0.18%로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오름폭은 1월(0.23%)보다 감소했다. 강원(0.08%)과 제주(0.06%)도 1월보다 상승폭은 줄었다. 이에 비해 인천은 0.06% 하락하면서 전월(-0.03%)보다 낙폭이 커졌고 경북(-0.10%)과 대구(-0.08%)도 약세가 지속됐다. 전셋값은 0.03%로 1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의 전셋값이 0.04%로 1월(0.06%)보다 상승폭이 축소됐으나, 경기도는 0.05%로 1월보다 상승폭이 0.03%p 커졌다. 부산(0.10%), 인천(0.05%), 강원(0.10%), 전북(0.08%) 등의 전셋값이 올랐고 세종(-0.10%), 울산(-0.04
지난해 은행의 정기예금 중 만기가 1년 이상인 상품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586조9천766억원으로, 2015년 말보다 3.1%(17조4천244억원) 늘었다. 정기예금을 기간별로 보면 만기가 1년 미만인 상품의 잔액이 180조4천374억원으로 1년 새 4.1%(7조7천651억원) 줄었다. 반면 만기가 1년 이상인 정기예금은 406조5천392억원으로 6.6%(25조1천876억원) 증가했다. 2015년에는 1년 미만 정기예금이 33조8천8억원(21.9%) 증가했지만, 1년 이상 정기예금은 42조2천697억원(10.0%) 줄었다. 당시 기준금리가 사상 처음 1%대로 진입하는 등 저금리가 심화되면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만기가 짧은 정기예금에 몰렸지만, 지난해에는 이런 현상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1.25%의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금융상품의 수익성이 떨어졌지만, 이자를 조금이라도 더 받으려는 자산가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김장선기자 kjs76@
정부가 가계대출을 조이면서 지난해 최대로 증가했던 전세자금 대출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5대 은행의 1월 전세대출 잔액은 34조5천65억원으로, 지난해 말 34조485억원에 비해 4천58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월별 증가액 기준으로는 2015년 6월 2천936억원이 증가한 이후 1년 7개월만에 최저치다. 또 전월인 2016년 12월 증가분 8천202억원의 5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지난해 월평균 증가액(8천654억원)에 견줘서도 절반(52.9%) 수준이며, 작년 동기 증가액(5천417억원)에 비해서도 15%(837억원)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5대 은행의 전세대출은 사상 최대 규모인 10조3천849억원 늘었다. 그러나 1월 들어 국민·우리·하나·농협은행의 전세대출은 소폭 늘어나는 데 그친데다 신한은행은 전월에 견줘 468억원이 감소했다. 신한은행의 전세대출 잔액이 전월 대비해 줄어든 건 작년 6월 이후 반년만이다. 전세대출의 증가세가 둔화한 건 정부의 가계대출 옥죄기 영향이 가장 크고, 계절적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1월은 이사철 비수기여서 거래가 전월대비 줄었다. 1월 서울시
소비자 10명 중 3명은 돼지고기를 일주일 1번 이상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1일 전국 20세 이상 소비자 737명을 대상으로 ‘돼지고기 소비실태’를 분석해 발표했다. ‘취식(먹기) 빈도’는 ‘1달 2~3회’라고 응답한 소비자가 37.3%로 가장 많았고, 이어 ‘1주일 1회’ 29%, ‘1주일 3~4회’ 9% 순이었다. 최근 3개월간 1회 평균 구매량은 ‘600~700g 미만’이 45.1%, ‘1천200g 이상’ 27.4%로 조사됐다. 가장 좋아하는 구이용 부위로는 ‘삼겹살’(61.3%)과 ‘목살’(32.8%)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원산지별로는 수입 돼지고기보다 국내산이 맛있다는 평가가 78% 정도(5점 만점 중 4.07점)로 높게 나타났다. /김장선기자 kjs76@
인천 연수구, 경기 화성시, 충북 보은군 등 3개 지역이 미분양 관리지역에 추가됐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는 수도권 9곳과 지방 16곳 등 모두 25개 지역을 6차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5차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강원 춘천시, 경남 김해시, 경북 칠곡군·영천시·예천군은 미분양 물량이 상당 부분 감소하거나 미분양증가율이 감소해 이번 관리지역에서 제외됐다. HUG는 미분양 주택 수가 500가구 이상인 시·군·구 중 ▲미분양 증가(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세대수가 50% 이상 증가한 달이 있는 지역) ▲미분양 해소 저조(당월 미분양세대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 가구 수의 2배 이상인 지역) ▲미분양 우려 ▲모니터링 필요 중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을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한다.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에서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공급할 목적으로 사업용지를 매입할 때 분양보증 예비심사를 받아야 한다. 예비심사를 받지 않으면 나중에 분양보증을 신청할 때 보증심사가 거부될 수 있다. /김장선기자 kjs76@
다른 연령대 가구보다 소비 지출이 많은 국내 4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지난해 처음 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주 연령이 40∼49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00만5천 원으로 전년보다 0.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 증가 폭(2.8%)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낮다. 40대는 통상 이직이 잦은 20∼30대, 명예퇴직 등으로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는 50∼60대와 달리 상대적으로 소득이 안정된 계층으로, 실제 40대 가구 소득은 연 기준으로 단 한 번도 감소하지 않고 매년 최소 2%대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 소득이 1년 전보다 0.03% 줄어들며 처음으로 뒷걸음질 친 데 이어 4분기에는 감소 폭이 0.04%로 더 확대됐다. 40대 소득 증가 폭의 둔화는 사업소득이 1.7% 줄어들며 3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한 탓이 컸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도 3년째 역대 최저 수준인 2%대 증가율에 머물렸다. 지난해 기준 40대 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은 308만 원으로 전 연령대 가구 중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가구의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는 28일 우리은행과 ‘위비플랫폼 기반의 공동마케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캠코는 우리은행 위비꿀파트너를 활용해 온비드 공매 정보 등 유용한 콘텐츠를 고객과 공유하고, 우리은행은 입찰보증금을 환불받는 온비드 이용고객의 타행이체 수수료 면제 및 공매 낙찰자 대상 대출서비스 등 고객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공동 마케팅에 나선다. 우리은행 위비꿀파트너는 모바일 메신저 위비톡을 활용해 기업이 계정을 만들어 300만 명의 고객에게 메시지 등을 발송하는 서비스다. 양 기관은 또 은행이 보유한 불용물품 등을 온비드 나눔매칭 서비스를 통해 공익단체에 기부하는 사회공헌 활동에도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문창용 캠코 사장은 “온비드 모바일 메신저 계정을 활용한 대고객 서비스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캠코는 위비꿀파트너 계정 오픈을 기념해 오는 2~31일 온비드를 방문한 고객 중 500명을 추첨해 모바일 커피 교환권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장선기자 kjs76@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이 중기 브랜드가 잘 알려지지 않아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109곳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브랜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브랜드가 잘 알려지지 않아 영업활동에 제약이나 한계를 경험했다’고 답한 기업이 83.3%에 달했다고 28일 밝혔다. 대부분의 응답기업(98.2%)들은 기업성장에 브랜드가 필요하다고 여기지만 전문 인력 부족(33.7%), 경험 부족(32.0%) 등으로 브랜드를 알리는데 애로가 있었다. 수출기업의 98.5%는 ‘해외 바이어가 인지하는 브랜드가 있을 경우 수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고, ‘스위스의 십자마크처럼 대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는 공동 브랜드가 있다면 참여하겠다’는 기업도 80.7%에 달했다. 또 브랜드가 널리 알려졌을 때 제품가격의 인상효과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27.8%가 ‘6~10%’ 인상이 가능하다고 답했으며, ‘20%’ 인상도 할 수 있다는 기업도 25.0%나 됐다. 브랜드 인지도 제고로 인한 마케팅비용 절감효과도 28.7%의 기업이 ‘11~20%’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다고 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글로벌화로 기술격차가 줄어들고 품질수준이 비슷해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