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윤종·서영우 봅슬레이 최고 성적월드컵 1·2차 銅, 3차대회 6위 윤성빈 스켈레톤 시즌 첫 동메달 내년 2월 평창 봅슬레이 트랙 완공 체계적 훈련 통해 기록단축 가능 2018년 올림픽 썰매 첫 메달 기대 원윤종(30)-서영우(24·이상 경기도연맹) 조가 봅슬레이 월드컵에서 6위에 올랐다. 원윤종-서영우는 12일 독일 퀘닉세에서 열린 2015∼2016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 월드컵 3차 대회 봅슬레이 2인승 경기에서 1, 2차 시기 총합 1분39초57을 기록했다. 전체 30개의 출전팀 중 1위는 1분38초77의 독일팀, 2위는 1분39초05의 라트비아팀, 3위는 1분39초50의 독일팀이 차지했고 1분39초51의 캐나다팀, 1분39초53의 스위스팀이 각각 4, 5위에 랭크됐다. 김동현-전정린 조(강원도청)은 1분39초97로 12위를 차지했다. 원윤종-서영우는 1차 시기에서 49초81로 7위에 그쳤지만 2차 시기에서는 기록을 0.05초 앞당겨 49초76으로 3위에 올랐다. 앞서 원윤종-서영우는 지난달 29일 월드컵 1차, 지난 5일 2차 대회에서 모두 동메달을 따는 기적을 일궜다. 한국 봅슬레이가 역대 월드
한국 여자 핸드볼 대표팀이 제22회 세계선수권대회 조별리그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한국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덴마크 콜링에서 열린 대회 7일째 조별리그 C조 5차전에서 아르헨티나에 29-22로 이겼다. 2승2무1패가 된 한국은 조 4위를 기록, 각 조 4개 팀이 올라가는 16강에 턱걸이로 진출했다. C조 1위는 브라질, 2위는 프랑스, 3위는 독일이었고 한국에 패한 아르헨티나는 5위로 탈락했다. 한국은 전반전 접전을 벌이며 10-10 동점을 허용하기도 했지만 정지해(삼척시청)의 득점으로 다시 치고 나가면서 추격을 뿌리쳤고 후반 들어 점수 차를 더욱 벌렸다. 한국은 김진이(대구시청), 정지해가 각각 6골, 이은비(부산시설공단)가 5골을 넣으며 팀 승리를 견인했다. 16강부터 진행되는 토너먼트에서 한국은 D조 1위 러시아와 대적하게 됐다. 임영철 대표팀 감독은 “1,2차전을 못 이기면서 선수들이 다소 위축됐고 그 여파가 4차전 독일전 대패로 이어졌다”면서 “아르헨티나전 승리의 분위기를 이어가 러시아도 물리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콩고전 어깨 부상에도 4득점을 올리며 투혼을 발휘한 류은희(인천시청)는 “승리를 위해 이를
한국이 세계여자볼링선수권대회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하나씩 추가했다. 한국은 12일(이하 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자이예드 스포츠시티 볼링장에서 열린 2015 세계여자볼링선수권대회 5인조 결승전에서 미국에 1060-1168로 져 은메달을 땄다. 손혜린(20·평택시청), 전은희(26·서울시설공단), 김진선(22·구미시청), 정다운(29·충북도청), 백승자(24·서울시설공단), 황연주(24·양주시청)로 구성된 한국은 결승전 초반부터 미국에 밀렸다. 미국 선수 전원이 1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를 한 반면 한국 선수 중에는 정다운과 백승자만 스트라이크를 했다. 한국은 이후에도 승부를 뒤집지 못한 채 끌려가 결국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연합뉴스
경총 ‘내년 CEO 경제전망 조사’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중 절반 이상이 내년 경영기조로 ‘긴축경영’을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35개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2016년 최고경영자 경제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2.3%는 내년도 경영계획의 방향성을 ‘긴축경영’이라고 답했다. ‘현상유지’라고 답한 CEO는 30.2%였고 ‘확대경영’은 17.4%에 불과했다. 특히 ‘긴축경영’이라는 응답은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답을 선택한 대기업 CEO는 지난해(51.4%)보다 15.3%포인트 증가한 66.7%였고 중소기업 CEO는 지난해(31.5%)보다 14.3%포인트 증가한 45.8%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조사에서 나타난 ‘긴축경영’ 응답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촉발된 시점인 2008년 12월 조사(67.1%)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나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라고 경총은 전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응답자의 75.7%가 현재 경기 상황을 ‘장기형 불황’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경기상황을 ‘경기 저점’이라고 평가한 비율은 91.0%로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경기저점 통과 후 회복 국면으로
삼성그룹에서 ‘샐러리맨의 별’인 임원으로 승진한 신임 상무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차종은 기아차 신형 K7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지난 4일 정기인사에서 197명이 상무로 승진했다. 이들 신규 임원에게는 회사에서 지원하는 차량이 제공된다. 상무급이 선택할 수 있는 차량은 현대차 그랜저와 기아차 K7, 한국GM 임팔라, 르노삼성 SM7 등 4종이다. 11일 기준으로 이들 197명의 신임 상무와 이번에 차량을 교체하는 기존 상무 23명 등 총 220명이 고른 차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뜻밖에도 아직 시장에 나오지 않은 신형 K7이다. 전체 48%인 106명이 내년 1월 출시 예정인 신형 K7을 선택했고 그 뒤를 이어 그랜저(79명), 임팔라(30명), SM7(4명) 순이었다. 특히 기존 임원을 뺀 나머지 신규 임원 197명 중 45% 이상은 자신의 첫 회사차로 K7을 낙점했다. 기아차 관계자는 “신형 K7은 디자인 공개 직후 고객들의 관심과 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며 “내년에 차량이 출시되면 임원 판매뿐 아니라 일반 판매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대한상의 보고서 오는 15일 미국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미국 금리 인상 도미노’에서 한국은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 효과와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한국 등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을 가정, 외환 대응력과 부도 위험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안전국’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는 ‘위험국’으로 평가됐다. 1994년 미국 금리 인상에서 시작된 ‘테킬라 효과’가 현재로서는 한국에서 재현되기 어렵다는 얘기다.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앨런 그린스펀 전(前)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권고하는 위기상황 대응력 평가에서 11개국 중 3위 안전국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한국 내 단기자금(3개월간 수입대금+1년 미만 단기외채)은 2천700억달러로 추정되지만 이는 외환보유고(3천747억달러)에 3개월간 경상수지 흑자(289억달러)를 더한 외환대응력(4천36억달러)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
올림픽 탁구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유승민(33) 삼성생명 코치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 최종 후보에 올랐다. IOC는 9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집행위원회를 열고 2016년 IOC 선수위원 최종 후보 24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최종 후보에는 유승민을 비롯해 육상 여자 장대높이뛰기의 ‘살아있는 전설’ 옐레나 이신바예바(러시아), 일본의 ‘육상 영웅’ 무로후시 고지, 역시 탁구 선수 출신인 장 미셸 세이브(벨기에), 미국프로농구(NBA) 선수 루이스 스콜라(아르헨티나) 등이 이름을 올렸다. 임기 8년의 IOC 선수위원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출전한 선수들의 투표로 선정되며 상위 득표자 4명이 IOC 위원에 선출된다. 총 15명인 IOC 선수위원은 각 국가올림픽위원회(NOC) 당 1명으로 제한된다. 한국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IOC 선수위원에 뽑힌 문대성 위원의 임기가 내년 리우올림픽에서 끝나 유승민이 다시 후보로 나섰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탁구 남자단식에서 금메달을 딴 유승민은 지난 8월 국내 후보 선발 과정에서 사격 진종오(36)와 역도 장미란(32)을 제치고 대한체육회(KOC)가 추천하는 IOC 선수위원 후보가 됐다.
프로야구 SK 와이번스의 포수 이재원(27)이 10일 자신의 안타로 무료 안과 수술을 받은 아기를 위문했다. 앞서 SK와 한길안과병원은 올 정규시즌 이재원이 친 안타당 10만원씩 기금을 적립해 저소득층 안과 수술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원은 올해 138개의 안타를 쳤다. 이재원 개인의 기부금(138만원)까지 더한 총 1천518만원의 기금이 조성됐다. 선천성 내사시(눈이 안으로 몰리는 증상)에 시달리는 1년 10개월 된 여아는 지난 9일 이 기금으로 수술을 받았다. 위문을 마친 이재원은 “야구를 통해 어려운 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에 매우 보람을 느꼈다”며 “내년에는 더 좋은 성적으로 더욱 많은 분들께 희망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프로축구 선수들이 현역 때부터 일찌감치 은퇴 후의 지도자 과정을 준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7~11일 파주 축구국가대표팀 트레이닝센터(NFC)에서 진행 중인 초급 과정의 아시아축구연맹(AFC) C급 지도자과정에는 48명의 현역 선수들이 참가해 지도자 수업을 받고 있다. 파주 NFC가 프로축구연맹의 요청을 받아 2013년 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도자과정 교육을 실시한 당시에는 24명이 참가했다. 올해는 두 배가 넘는 64명이 신청, 결국 구단별 쿼터와 100경기 이상 출전, 고연령 순 등 기준을 적용해 인원을 추려내야 했다. 이번 교육과정에는 이동국(전북), 염기훈(수원), 김용대(FC서울), 이천수(인천), 조원희, 김영광(이상 서울 이랜드) 등 유명 선수들도 다수 참가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은 12세미만을 지도할 수 있는 초급과정 C급 지도자 자격을 따기 위해 경기규칙, 스포츠과학 등 필기와 1대1수비, 공격 등 실기시험을 거쳐야 한다. C급 지도자 자격을 따면 각각 18~19세와 성인 선수들을 가르칠 수 있는 B급과 A급, 그리고 프로와 국가대표 등을 가르칠 수 있는 P급 지도자 자격을 딸 수 있다. 한 과정을 통과하면 2년이 지나야 다음 과정에 지원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