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보고서
오는 15일 미국 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미국 금리 인상 도미노’에서 한국은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 효과와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한국 등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을 가정, 외환 대응력과 부도 위험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안전국’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는 ‘위험국’으로 평가됐다.
1994년 미국 금리 인상에서 시작된 ‘테킬라 효과’가 현재로서는 한국에서 재현되기 어렵다는 얘기다.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앨런 그린스펀 전(前)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권고하는 위기상황 대응력 평가에서 11개국 중 3위 안전국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한국 내 단기자금(3개월간 수입대금+1년 미만 단기외채)은 2천700억달러로 추정되지만 이는 외환보유고(3천747억달러)에 3개월간 경상수지 흑자(289억달러)를 더한 외환대응력(4천36억달러)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1개국 중 한국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상의 자문위원인 조성훈 연세대 교수는 “미국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겠지만 이는 충분히 예상된 변화”라며 “오히려 금리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가 한국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