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김포지역 경제가 8부 능선에서 위기를 겪고 있다. 22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7월말 기준 고용행정 통계에서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김포시에서는 7501개의 사업장이 폐업하고 9324개가 신규 등록한 고용보험가입 사업장이 지난해 말 기준 2만 5912개에서 2만 8173개로 8.7% 증가했다. 이같은 수치를 볼 때 사실상 일자리는 늘었지만 구인 인원은 지난 해 같은 기간 2만 627명에서 1만 7966명으로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직자는 2만 909명에서 2만 4493명으로 크게 늘었으나 7148명만 취업에 성공했다. 하지만 실업급여 지급액은 눈덩이처럼 커졌다. 실업급여 지급자 수는 지난 해 말 3346명에서 6084명으로 81.8% 증가한 결과 지급액은 49억 6900만 원에서 11억 7700만 원으로 반년 새 무려 2배 이상 늘어났다. 실업급여가 이렇게 급증한 이유는 코로나19 영향도 있었지만 작년 10월부터 바뀐 실업급여액 인상 및 지급기간 확대가 주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포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지역경제 활력화를 위해 지난 4월 긴급재원을 마련해 매출이 급감한 20억 원 이하 김포시 소재 임차소상
김포경찰서 피해자멘토위원회는 22일 추석을 맞아 코로나19 등으로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을 위해 김포금쌀 40포와 라면 30박스를 사우동 행정복지센터에 기탁했다. 이날 최원보 위원장은 “코로나19로 요즘 많은 분들의 생활이 어려워진 것에 작은 정성이지만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바램에 조금이나마 기탁하게 됐다”며 “풍요로운 추석을 보내시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주이자 사우동장은 “성품을 기탁해 주셔서 감사드린다.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 있어 힘이 될 것이며 이웃들에게 넉넉한 추석이 될 것이다”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한편, 김포경찰서 피해자멘토위원회(일명 ‘희망의 등대’)는 지역사회 전문가들로 구성된 모임으로 범죄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에게 경제적·법률적·의료적 지원 등 다양한 방면에서 체계적인 지원을 해오고 있다. [ 경기신문/김포 = 천용남 기자 ]
포시는 추석 연휴기간인 9월30일부터 10월 4일까지 응급환자 발생에 대비하고 의료기관 및 약국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문 여는 병원·의원 및 약국을 지정·운영하는 응급진료체계에 들어간다고 22일 밝혔다. 연휴기간 중 김포우리병원(031-999-1119)과 뉴고려병원(031-980-9119)은 24시간 응급실을 운영하고, 나리여성병원(031-982-5700)과 서울여성병원(031-985-7582)은 24시간 응급분만에 대비, 그 외 의료기관 및 약국은 응급진료 지정일에 진료 및 약국을 운영할 계획이다.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의원 및 약국 운영 현황은 보건소(명절연휴 전 031-980-5056, 명절 연휴기간 상황실(031-5186-4051~6), 129보건복지콜센터, 119 구급상황관리센터로 문의하면 안내 받을 수 있다. 또 이밖에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명절병원’, ‘명절진료’를 검색하거나 김포시보건소 홈페이지 및 김포시 홈페이지(www.gimpo.go.kr), 응급의료정보센터(www.e-gen.or.kr), 스마트폰 앱(응급의료정보제공)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공공 심야약국인 한사랑약국(걸포동 소재), 통진온누리약국(통진
김포시 장기동 패션로데오상가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 추진하는 ‘스마트 시범상가’ 사업지로 선정됐다. 이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IoT(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집중 보급해 소상공인의 경영․서비스 혁신거점으로 육성하는 사업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유통의 급격한 변화로 비대면, 디지털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 21일 장기패션로데오상가측에 따르면 지난 2003년 3월 김포 최초의 패션아울렛타운으로 문을 연 이래 김포한강신도시에 아울렛 부지가 편입됨에 따라 2008년 3월 신도시에 인접한 현재의 부지로 확장 이전, 김포 최대의 아울렛으로 성장했다. 이와더불어 장기패션로데오상가는 이번 사업 추진을 위해 올 상반기부터 준비, 스마트 상가를 위한 별도의 TF팀을 구성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장기패션로데오상가는 이번에 복합형 시범상가로 선정돼 상가 특성에 맞춰 스마트 기술과 스마트 오더로 나눠 지원되며, 상점가에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상점위치, 취급제품 및 지역명소 등을 종합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스마트 기술은 VR․AR을 활용한 스마트 미러, 사이즈에 맞는 신발의 모형을 보여주는 풋
김포문화대잔(대표이사 안상용)은 '모담산 발굴학교 – 땅 속 미스테리, 상상하Go! 찾아보Go!' (이하 모담산 발굴학교) 참가자를 추가 모집한다. 21일 (재)김포문화재단은 모담산 발굴학교는 김포 아트빌리지와 운양동 샘재공원 원삼국시대 유적 전시장 등 현장에서 진행될 계획이었으나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 예방을 위해 가족 단위 비대면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운영되며, 지난 8월 선정된 63팀 외에 137팀을 추가로 선착순 모집하여 총 200팀이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신청한 팀들에게는 김포문화재단에서 직접 기획·제작한 가정용 모의발굴키트와 팝업북 만들기, 교육 활동지 등이 포함된 체험키트를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제공하고 참가자들이 가정에서 온라인을 통해 김포지역 고대사, 원삼국시대 무덤유적 해설, 고고학 체험, 키트 체험방법 등에 대한 교육 영상을 시청하며 쉽고 재미있게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번 참가자 추가모집은 초등학교 2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학생이 있는 가족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 오는 23일부터 10월 7일까지 김포문화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의 링크(네이버폼)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안상용 김포문화재단 대표이사
김포시청소년재단 고촌청소년문화의집이 운영하고 있는 4차산업혁명 특성화프로그램 ‘가상현실 프로젝트–내 손에 VR’이 연일 최고 클릭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당초 대면으로 계획됐지만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100여 명이 넘어서면서 비대면 운영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처음 계획했던 ‘다양한 VR 기기 체험’은 운영되지 못했다. 그러나 360도 카메라와 HMD(VR감상기기)를 대여해주는 등 고촌문화의집은 코로나 위급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현재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3D펜 융합 수학’이다. [ 경기신문/김포 = 천용남 기자 ]
김포시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D 노선 유치를 위해 시민들의 서명 운동에 나섰다. 이는 서울시와 인접해 있음에도 교통 인프라가 부족한 김포시에서 앞으로 강남, 잠실 등 서울 중심과 수도권 남부를 30분대로 연결할 수 있는 GTX-D 노선 유치가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시에서는 지난 16일 경기도청에서 개최된 GTX-D 노선 유치를 위한 경기도지사, 김포시장, 부천시장, 하남시장, 국회의원간 간담회를 시작으로 사업 추진의 염원을 담아야 한다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김포시는 10만 명을 목표로 온라인 서명운동을 시작한다. 온라인 서명은 큐알(QR) 코드 스캔만으로 간단하게 참여할 수 있으며 김포시 홈페이지에서도 가능하다. GTX-D 노선은 2019년 10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광역교통 2030’ 발표 시 광역급행철도 수혜범위 확대를 위해 서부권 등 신규노선 검토를 언급하면서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같은 시민들의 염원에 만약 확정이 이뤄진다면 수도권의 서부, 남부, 동부인 김포~부천~서울남부~하남시를 이어줄 예정이며 총연장 68㎞에 총 사업비는 5조 9000억 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한민국 문해의 달을 맞아 김포시평생학습관 글꽃학교 수강생이 시화전 대회에서 최우상을 받았다. 이번 시화전은 “글 한걸음, 소통두걸음, 희망세걸음”이라는 슬로건으로 전국17개 광역시・도에서 3천764명의 문해 학습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대회에 참가한 김포시 평생학습관 수강생 김순금(67)최우수상과, 고복임(75)우수상, 장명숙(60)씨가 특별상 등을 수상했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김순금 수강생의 작품은 코로나19로 동대문에서 장사를 하는 딸과 마스크를 쓰고 수업을 하는 힘든 며느리를 생각하며 위로와 응원의 메시지를 담아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측에서 주최한 인터뷰에서 김순금 수강생은 문해교육과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하며 “아들에게 엄마다 라는 짧은 문자를 처음 보낸 것과 투표를 할 때 스스로 판단해서 투표를 할 수 있었던 것이 좋았고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공부를 계속해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황규만 교육지원과장 “코로나19로 학교에 오시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가정학습을 통해 이뤄낸 성과를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앞으로도 문해교육을 배우고 누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행·재정적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김포시로 이주해온 인구가 전국에서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김포시가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분류되고 있다는 의미다. 15일 김포시가 매월 인구증감 등 인구 이동현황 결과를 분석한 ‘김포 인구브리핑(9월호)’ 자료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의하면 지난 8월 기준 김포시 인구는 45만8505(외국인 제외)명으로 전월 대비 6천663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포에 이어 2위와 3위는 각각 시흥시(4913명), 인천 연수구(3740명)로 조사됐다. ‘김포 인구브리핑(9월호)’ 내용에 따르면 김포시 인구 규모는 경기도내 13위, 전국에서는 30위에 해당하며 평균 연령은 39.7세로 전국 평균 43세에 비해 젊고 역동적인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지난 8월 연령별 인구증감 역시 30대와 40대에서 전체 증가인구 6663명의 40.71%에 해당하는 2713명이 증가했고 영유아 비율도 전국 5위(6.38%)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포시의 인구는 2003년 처음으로 20만 명을 돌파(20만3391명)한 후 2013년 31만2305명, 2018년 42만3170명, 2019년 43만7221명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꾸준한 인
코로나19로 인해 관내 여행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시가 시비 1억원을 추경안으로 편성했던 예산이 행복복지위원회 축조심의에서 형평성 문제로 전액 삭감될 위기에 처해졌다가 예산특별위원회에서 다시 부활됐다. 15일 시의회 따르면 김포시의회 행복복지위원회가 다른 업계와의 형평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는 취지로 전액 삭감됐던 예산 1억원이 지난 14일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지원해주는 것으로 확정됐다. 하지만 이를 두고 어려움에 처한 다수 소상공인이 많은데 특별하게 여행업계에만 지원해주는 것은 또 다른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뒷말이 무성하다. 행복위에서 타 업종의 형평성 문제로 삭감한 예산이더라도 예결위에서 정족수가 많은 더불어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부활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사실로 나타나자 상임위 무용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이 예산은 지난 10일 유영숙 시의회 행정복지위원회 위원이 “여행업계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한다면 다른 업종의 매출 감소 비율과의 비교를 통해 여행업계 지원에 대한 당위성이 나와 줘야 하는데 전혀 그런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한 이후 다음날인 11일 삭감됐다. 그러나 14일 예결위에서 부결시킨 해당 예산안 1억원이 심사 확정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