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부동산 회복 기대감 2013년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매서운 한파를 벗어나지 못했던 2012년에 비해 하반기부터 서서히 회복하는 상저하고(上低下高)의 기류를 탈 전망이다. 유럽과 미국 경제의 불안 해소와 새로운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대책 발표 기대를 비롯해 2013년 말에는 취득세 50% 감면(4%→2%) 혜택이 종료됨에 따라 늦어도 하반기에는 매매 수요자들이 관망세를 끝내고 실거래에 나서는 기지개를 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 수도권 3년 연속 매매가 하락세 2012년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전년 대비 서울 -5.2%, 경기·인천 -3%의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2010년과 2011년에 이어 3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경기지역의 경우 과천이 -9.05%로 가장 많이 하락했고 ▲김포(-6.13%) ▲파주(-5.67%) ▲고양(-4.55%) ▲용인(-4.49%) ▲의왕(-3.86%) ▲성남(-3.76%) 등의 순으로 내림 폭이 컸다. 서울은 ▲강동(-8.61%) ▲강남(-7.98%) ▲송파(-6.99%) ▲서초(-6.43%) ▲양천(-5.93%) ▲노원(-5.84%) 등의 순으로 떨어졌다. 신도시는 ▲판교(-10
지난해 12월 경기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로 6개월 연속 1%대를 유지했다. 2012년 연평균 상승률은 2.1%로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일 경인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12년 12월 및 연평균 경기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는 106.4로 전년동월 대비 1.2% 올랐다. 따라서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6월(2.2%)이후 1%대 상승률을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년동기에 비해 1.1% 증가했다. 이 가운데 농산물은 7.9% 오른 반면, 축산물과 수산물은 10.2%, 1.3% 각각 내렸다. 한편 2012년 연평균 도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지난 1999년(0.9%) 이후 가장 낮았다.
올해 대기업 4년대졸 신입사원 평균연봉이 지난해에 비해 6.8% 인상된 3천695만원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매출액 상위 500대 대기업 가운데 254곳의 신입사원 연봉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4년대졸 학력의 남성 신입사원, 인센티브를 제외한 기본상여 포함한 수준을 기준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가운데 신입사원 연봉 수준이 가장 높은 업종은 ‘조선중공업’과 ‘금융업’으로 신입사원 평균연봉이 4천만원을 웃돌았다. ‘조선중공업’ 업종의 신입사원 연봉은 평균 4천53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금융’ 업종도 평균 4천175만원으로 상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운수(3천805만원) ▲섬유의류(3천800만원) ▲석유화학(3천781만원) ▲건설(3천728만원)업종 순이다. 반면 ▲기타서비스(3천198만원) ▲식음료 외식(3천352만원) ▲자동차(3천425만원) 업계의 신입사원 평균연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중소기업 4년대졸 신입사업은 상대적으로 낮아 대·중소기업 간 연봉격차는 더 커질 전망이다. 올해 중소기업 4년대졸 신입사원 연봉은 평균 2천331만원으로 대기업 보다 1천364만원이 낮았다. 이
대학생 10명 가운데 7명은 심각한 취업난을 자각하고 있으며 취업난의 장기화를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www.career.co.kr)는 대학생 5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72.2%가 ‘현재 취업난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1일 밝혔다. 반면 ‘별로 심각하지 않다’와 ‘취업난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는 각각 4.8%, 2.9%에 그쳤다. 특히 전체 응답자 중 47.2%는 현재 취업난이 ‘3~4년 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고 ‘장기간(5년 이상)지속될 것’(44.7%)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취업난이 지속되는 이유는 38.4%가 ‘경기불황으로 인한 채용 규모 축소’를 꼽았다. 이어 ‘구직자들의 대기업 고집’ 33.2%, ‘취업난을 해소할 수 있는 취업정책의 부재’ 23.0%,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정보 부족’ 5.4% 등도 포함됐다. 취업난 해소를 위해 바라는 정책은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취업프로그램 지원’이 52.6%로 가장 많았고 ‘기업들의 의무채용제도 도입’ 19.6%, ‘구직자들을 위한 취업자금 지원’ 14.4%, ‘일자리 늘리기 정책’ 10.7%였다.
내년 전세 재계약 비용이 평균 2천만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2013년 1월 전세 재계약이 돌아오는 동일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2년 전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과 현재 전세가격을 비교한 결과, 평균 전세가는 1억3천560만원에서 1억5천608만원 늘어날 것으로 집계됐다. 재계약 비용이 2천48만원 증가하는 것으로 2년간 정기적금을 매월 86만원 저축해야 모을 수 있는 자금이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2011년 한해 동안 12.08% 단기간 급등해 2년 재계약이 도래하는 시점에는 전세 재계약 비용 부담은 줄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부동산114 측은 설명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에선 서울 3천27만원, 경기 2천302만원, 인천 713만원이 각각 추가로 늘어난다. 경기도는 성남(3천904만원), 화성(3천526만원), 하남(3천158만원), 용인(3천148만원), 광명(2천645만원), 오산(2천623만원) 등의 순으로 전세 재계약 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의 경우 대구는 2천723만원으로 전국에서 서울 다음으로 재계약 증가 비용이 오를 전망이다.
경기저축은행과 더블유저축은행이 영업정지 됐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8일 임시회의를 개최하고 경기저축은행과 더블유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를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지난 10월 두 곳은 BIS 비율이 -5% 이하로 경영개선명령을 받았다. 경기저축은행은 BIS자기자본비율이 지난 9월말 기준 -6.81%, 더블유저축은행은 -4.07%였다. 이번 조치는 영업중단 없는 구조조정 방식이다. 경기저축은행과 더블유저축은행의 원리금 기준 5천만원 이하 예금자는 예금보험공사 산하 가교저축은행인 예한솔저축은행과 예성저축은행으로 기존 예금 거래 및 조건(만기, 약정 이자)과 동일하게 거래가 가능하다. 계약을 이전 받은 예한솔저축은행과 예성저축은행은 각각 31일 부터 기존 경기·더블유 저축은행의 영업점에서 영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한편, 법으로 보장되지 않는 5천만원 초과 예금자는 경기저축은행이 20여명, 더블유저축은행이 190여명으로 파악된다.
11월 도내 광공업 생산이 전년 동월 대비 10% 가까이 오르면서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30일 경인지방통계청이 발표한 ‘11월 경기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도내 11월 광공업 생산지수는 207.0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9.4% 늘었다. 도내 광공업 생산은 지난 7월 -0.3%로 2년 9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이후 ▲8월 4.1% ▲9월 1.4% ▲10월 1.3% 등 4개월 연속 상승세다. 품목별로는 석유정제(39.6%), 식료품(8.9%), 의약품(8.1%), 고무 및 플라스틱(6.3%) 등이 오른 반면, 나무제품(-19.1%), 인쇄 및 기록장치(-17.3%), 의복 및 모피(-17.0%) 등은 줄었다. 한편, 생산자제품 출하지수는 174.4로 전년동월 대비 6.7% 늘었고 재수지수는 230.6으로 0.1% 감소했다.
수도권의 미분양 아파트 가구수가 7개월 연속 증가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말 기준 수도권의 미분양 아파트 가구수가 모두 3만4천385가구로 전월(3만2천448가구)대비 1천927가구 늘었다고 27일 밝혔다. 수도권 등 지방은 신규 미분양 증가로 인해 전월(4만291가구)보다 1천643가구 많은 4만1천934가구였다. 지역별로는 광주광역시가 3천608가구로 816가구 증가했고, 경남은 9천941가구로 1천698가구 늘었다. 이에 비해 대구는 3천707가구로 971가구, 충남은 3천608가구로 540가구 감소했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이 총 4만2천502가구로 전월대비 3천62가구 증가했고, 85㎡ 초과 중대형은 3만3천817가구로 518가구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후 미분양은 2만8천944가구로 전월대비 1천620가구 증가했다. 전국은 모두 7만6천319가구로 전월(7만2천739가구)에 비해 3천580가구(4.9%) 늘었다. 9·10대책의 영향으로 기존 미분양은 전월에 비해 총 5천900여가구 감소했다. 그러나 신규 분양물량 증가와 올해 말 종료되는 미분양 양도세 감면혜택을 받기 위해 건설사들이 미신고분을 등록하면서 전체 미분양
노태우 정부 200만가구 공약 후 건설 증가 김영삼 정부 1996~97년 공급량 10만 넘어 김대중 정부 임기내 8만~10만 안정적 공급 노무현 정부 임기말 14만6천여가구 기록 이명박 정부 6만6천여 가구 94년 이후 최저 공공임대주택 건설실적이 지난 2007년 이후 감소세가 이어져 지난해에는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써브(www.serve.co.kr)가 e-나라지표 공공임대주택 건설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07년 14만6천565가구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매년 감소했고 2011년에는 6만6천796가구로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태우 정부부터 노무현 정부까지 공공임대주택 건설실적은 꾸준하게 증가했지만 이명박 정부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공공임대주택 건설실적은 주택법에 의한 주택건설사업자가 공공택지 및 기금 등의 지원을 받아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할 때 시·도지사 또는 국토해양부장관으로부터 사업계획에 대해 승인 받은 실적 기준을 말한다. 공공임대주택 건설실적은 노태우 정부가 주택 200만가구 건설을 대선공약으로 내세웠고 취임 1주년 기념 행사에서 발표한 영구임대주택 25만가구 건설 계획에 따라 1988년 5만2천218가
올해 부동산 경매시장에 나온 수도권 아파트가 역대 최다치로 집계됐다. 그러나 주택경기 침체로 낙찰가율은 가장 낮았다. 부동산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은 올해 경기·인천·서울 등 수도권에서 경매된 아파트가 모두 3만4천576건으로, 조사를 시작한 지난 2001년 이후 가장 많았다고 26일 밝혔다. 그러나 매수심리가 얼어붙어 낙찰가율은 74.3%(24일 기준)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80.5%에 비하면 6.2%p 감소했으며 전용면적 85㎡초과 중대형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70.1%로 85㎡ 이하 중소형 낙찰가율 80.5%보다 10.5%p 낮았다. 고가 주택도 예외없이 경매에 부쳐져 아파트·단독주택 등도 역대 최고 감정가 기록을 잇따라 경신했다. 아파트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 ‘상지리츠빌 카일룸’ 아파트 전용면적 244㎡의 감정가가 건물 34억2천만원, 대지 25억8천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 아파트는 지난 6월 횡령 및 배임 등의 혐의로 구속된 윤현수 한국저축은행 회장 소유로 거실 2개, 방 3칸, 드레스룸 3개, 화장실 4개, 파우더룸 1개 등으로 구성됐고 1회 유찰을 거쳐 현재 최저가가 48억원으로 떨어졌다. 단독주택으로는 강남구 신사동 소재 지하 1층, 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