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회 아시아여자핸드볼선수권 한국 여자핸드볼 대표팀이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4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강재원 감독이 이끄는 대표팀은 9일 일본 구마모토현 현립종합체육관에서 열린 제17회 아시아 여자핸드볼선수권대회 마지막 날 일본과 결승전에서 30-25, 5점 차로 승리했다. 이로써 한국은 2012년과 2015년, 2017년 대회에 이어 4회 연속 아시아선수권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또 한국 여자핸드볼은 통산 17차례 아시아선수권에서 14번이나 정상에 오르며 아시아 최강의 자리를 다시한번 확인했다. 한국 외에 다른 나라가 이 대회 우승을 차지한 것은 2002년과 2010년 카자흐스탄, 2004년 일본 등 세 번이 전부다. 이 세 차례 대회는 카자흐스탄과 일본이 모두 개최국 자격으로 우승한 경우였다. 올해 6월 서울에서 열린 일본과 정기전에서 27-20으로 승리한 한국은 올해 일본과 두 차례 맞대결을 모두 승리로 장식하며 전력의 우위를 재확인했다. 2019년 세계여자선수권과 2020년 하계올림픽을 연달아 개최하는 일본은 2017년 초부터 덴마크 출신 울리크 커클리 감독을 선임해 최근 두드러진 기량 향상을 보인 팀이다. 지난해 12월 세계선수권에서 네덜란드를 상…
2회 연속 16강 진출에 도전하는 윤덕여호가 2019 국제축구연맹(FIFA) 프랑스 여자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개최국’ 프랑스, 노르웨이, 나이지리아와 격돌한다. FIFA 랭킹 14위인 한국 여자축구대표팀은 9일 프랑스 파리의 라 센 뮈지칼에서 열린 여자 월드컵 조 추첨에서 프랑스(3위), 노르웨이(13위), 나이지리아(39위)와 A조에 편성됐다. 프랑스, 노르웨이는 한국 여자축구가 처음 월드컵 본선을 경험했던 2003년 미국 대회 때 같은 조에서 경기를 치른 팀이다. 한국은 역대 여자 월드컵에서 통산 세 번째이자 2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다. 2003년 미국 대회에 처음 출전해 조별리그 3전 전패를 당했던 한국은 2015년 캐나다 대회 때 조별리그 1승1무1패로 역대 첫 조별리그 승리와 역대 첫 16강 진출을 일궈냈다. 이에 따라 윤덕여 감독이 이끄는 우리 여자대표팀은 2회 연속 본선 무대에 진출한 한국은 내년 프랑스 여자 월드컵을 통해 2회 연속 16강 진출에 도전한다. 한국은 개최국 프랑스와 A조에 속하면서 한국 시간으로 내년 6월 8일 오전 5시 프랑스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개최국 프랑스와 개막전을 치르는 주인공이 됐다. 윤덕여호는 2015년 캐
2019 국제축구연맹(FIFA) 여자월드컵에서 프랑스, 노르웨이, 나이지리아와 한 조에 편성된 한국 여자 대표팀의 윤덕여 감독은 전반적으로 쉽지 않은 대진으로 평가하며 개최국 프랑스와의 경기를 관건으로 꼽았다. 윤 감독은 9일 프랑스 파리의 라 센 뮈지칼에서 열린 프랑스 여자월드컵 조 추첨을 마치고 “우리로선 쉽지 않은 조 편성”이라고 평가했다. FIFA 랭킹 14위인 한국 여자 대표팀은 이날 추첨 결과 프랑스(3위), 노르웨이(13위), 나이지리아(39위)와 A조에 편성됐다. 특히 한국은 내년 6월 8일 파리에서 개최국 프랑스와 공식 개막전을 치를 상대로 결정됐다. 윤 감독은 “프랑스가 홈 이점을 가진 데다 개막 경기라 많은 팬의 응원을 받을 것이다. 우리로선 쉽지 않은 부분”이라며 “1차전 결과가 향후 두 경기에도 영향을 미쳐 예선 통과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르웨이도 월드컵 우승과 준우승 경험을 지난 강호이며, 나이지리아도 8회 연속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은 만만치 않은 상대다. 윤 감독은 “나이지리아와의 2차전은 승점을 반드시 따야 하는 중요한 경기다. 이 경기에 승부를 걸고 노르웨이와의 3차전까지 최선을 다해 승점을 가져오는 경기를 해야
한국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기대주 김예림(15·군포 도장중)이 2018~2109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최종 6위를 차지했다. 김예림은 9일 캐나다 밴쿠버의 더그 미첼 선더버드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대회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에서 기술점수(TES) 57.66점에 예술점수(58.74점), 감점 1점을 합쳐 115.40점을 받았다. 지난 7일 쇼트프로그램에서 62.51점으로 6명의 출전선수 가운데 중간 순위 4위에 올랐던 김예림은 프리스케이팅 점수를 합쳐 총점 177.91점을 기록, 최하위로 떨어졌다. 5명의 러시아 선수들과 경쟁한 김예림은 이번 시즌 두 차례 그랑프리에서 모두 은메달을 차지하며 김연아 이후 13년 만에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무대에 올랐지만, 함께 경쟁한 5명의 러시아 선수들과 격차를 실감해야 했다. 러시아의 알레나 코스토르나이아가 총점 217.98점으로 우승했고, 알렉산드라 트루소바(215.20점)와 알레나 카니셰바(198.14점)가 2,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첫 과제인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 점프에서 어텐션(에지 사용주의)과 회전수 부족 판정을 받은 김예림은 이어진 더블 악셀-트리플 토루프 콤비네
아시안게임에서 2회 연속 금메달을 수확한 한국태권도 경량급의 간판 김태훈(24·수원시청)이 지난 7일 서울 강남구 국기원에서 열린 2018 자랑스러운 태권도인상 시상식에서 선수부문 상을 받았다. 2007년 처음 제정됐다가 2015년부터 제도화된 ‘자랑스러운 태권도인상’은 국기원이 태권도 보급, 발전에 공헌한 인사들을 선정해 준다. 올해 시상식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집행위원인 세르미앙 응 명예 이사장을 비롯한 국기원 임직원과 태권도 유관단체 관계자, 태권도 지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태권도 대상 3명과 연구 부문을 제외한 태권도인상 10개 부문 11명 등 총 14명에 대한 시상이 이뤄졌다. 김태훈은 태권도인상 선수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4년 전 인천 아시안게임 남자 54㎏급 정상에 오른 김태훈은 올해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남자 58㎏급에서 우승해 대회 2회 연속 금메달을 수확했다. 김태훈은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3연패(2013, 2015, 2017년)를 달성했으며 현재 세계태권도연맹 남자 58㎏급 올림픽랭킹 부동의 1위다. /정민수기자 jms@
한국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장거리 김민석(성남시청)이 2018~2019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월드컵 3차 대회 남자 1천500m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민석은 9일 폴란드 토마슈프마조비에츠키에서 열린 대회 남자 1천500m 디비전A(1부리그)에서 1분47초851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 데니스 유스코프(러시아·1분46초783)와 이치노헤 세이타로(일본·1분47초381)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번 동메달은 김민석의 이번 시즌 월드컵 시리즈 첫 메달이다. 김민석은 지난 2월 평창동계올림픽 남자 1천500m에서 1분44초93의 기록으로 ‘깜짝 동메달’을 따내며 한국 장거리 종목의 차세대 주자로 우뚝 섰다. 당시 김민석의 동메달은 동계올림픽 1천500m에서 아시아 선수가 따낸 첫 메달이었다. 8조 아웃코스에서 출발한 김민석은 노르웨이의 스베레 룬데 페데르센과 맞붙어 첫 번째 랩을 24.39로 주파하면서 페데르센(24초13)에 밀렸지만 두 번째 랩부터 속도를 끌어올려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김민석은 먼저 경기를 끝낸 유스코프에 이어 2위로 올라섰지만 9조에서 경기를 치른 세이타로가 치고 올라오면서 동메달에 만족해야 했다. 여자 500m 디비전A 2차 레
손흥민(26·토트넘)이 2경기 연속 득점포를 폭발하는 등 1골 1도움의 맹활약으로 팀의 승리에 앞장섰다. 손흥민은 9일 영국 레스터의 킹파워 스타디움에서 열린 레스터시티와의 2018~2019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16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0-0으로 맞선 전반 추가시간 결승 골을 터뜨렸다. 손흥민의 이번 시즌 전체 5호, 리그에서는 3호 골이다. 그는 사흘 전 사우샘프턴과의 15라운드에서 유럽 빅리그 통산 100호 골을 넣은 데 이어 2경기 연속 득점을 기록했다. 손흥민은 후반 13분 델리 알리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세 번째(리그 2호) 도움까지 올려 팀의 2-0 승리를 이끌었다. 사우샘프턴전에 이어 2연승을 이어간 토트넘은 리그 3위(승점 36점)를 달렸다. 해리 케인과 크리스티안 에릭센을 벤치에 앉히고 시작한 토트넘은 초반 레스터시티의 촘촘한 수비에 공격 활로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최전방에 나선 손흥민은 전담 키커도 맡으며 세트피스 상황에서 기회를 만들려 노력했으나 쉽게 풀리지 않았다. 다소 답답하던 흐름을 뚫은 건 손흥민의 한 방이었다. 0-0으로 전반전이 끝날 기색이 짙던 추가시간 손흥민은 오른쪽 측면에서 넘어온 세르주 오리에의…
유럽 프로축구 무대에서 통산 100호골 금자탑은 쌓은 손흥민(26·토트넘)이 대한축구협회(KFA) ‘올해의 골’의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 관련기사 15면 손흥민은 또 KFA ‘올해의 선수’ 부문에서도 황의조(26·감바 오사카)와 경쟁하며 2년 연속이자 통산 네 번째 수상에 도전한다. 손흥민이 러시아 월드컵 독일전에서 터뜨린 환상적인 쐐기 골은 축구협회가 홈페이지(www.kfa.or.kr)를 통해 진행 중인 온라인 투표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손흥민이 독일과 월드컵 조별리그 최종전 1-0으로 앞선 후반 추가시간 쾌속 질주 끝에 넣은 이 골은 이날 오전까지 총 1만6천105표를 얻어 이승우(엘라스 베로나)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이란과 8강전에서 터뜨린 골(1만290표)에 큰 차이로 앞서 있다. 아울러 손흥민이 러시아 월드컵 멕시코와 2차전에서 왼발 중거리포로 터뜨린 만회 골도 3위(2천268표)에 올랐다. ‘올해의 골’ 투표는 12일까지 진행된다. 손흥민은 또 오는 18일 오후 4시 서울 종로구 종로6가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리는 2018 KFA 시상식의 주인공인 ‘올해의 선수’ 후보로도 손색이 없다. 수상자는 ‘취재 기자단 50%+기술위
한국경마 최고의 경주인 제37회 그랑프리(GI, 경주상금 8억원)가 오는 9일 한국마사회(회장 김낙순) 렛츠런파크 서울에서 제9경주(출발 오후 4시45분)로 개최된다. 이 경주는 2천300m로 최장거리로 산지에 제한 없이 3세 이상이면 출전 가능하며 ‘트리플나인’, ‘청담도끼’ 등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명마들이 출전하는 가운데, ‘투데이’, ‘돌콩’, ‘문학치프’ 등 신예마가 대거 등장했다. 신구 강자 간 대결구도가 예상되는 가운데 작년에 이어 올해도 국산마가 우승을 차지할 수 있을지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대표 국산마는 ‘트리플나인’과 ‘투데이’이며, 외산마로는 ‘청담도끼’, ‘돌콩’ 등이 출전한다. 최고의 국산마를 선발하는 ‘대통령배’에서 4연패를 달성한 ‘트리플나인’(한국·수·6세·R127·승률 46.7%·복승률 83.3%)은 리딩사이어(Leading Sire, 우수씨수말) ‘엑톤파크’의 자마로 장거리형 경주마다. 타고난 승부사 기질과 종반 추입능력이 우수하며 30번 출전 경험 중 22번이 해외경주를 포함한 대상경주 출전으로 큰 대회에서 강자들과 겨루며 실력을 쌓았다. 특히 올해 출전한 총 4번의 경주에서 2번 우승, 2위와 3위를 각 1회 기록하
한국 여자핸드볼 대표팀이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4회 연속 우승에 한 발 더 다가섰다. 강재원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지난 5일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열린 제17회 아시아여자핸드볼선수권대회 조별리그 B조 마지막 경기에서 중국에 24-21로 승리했다. 이로써 한국은 조별리그 4전 전승으로 B조 1위로 4강에 진출했다. 지난 달 30일 열린 인도와 조별리그 1차전(37-10) 승리를 시작으로 싱가포르(41-9), 홍콩(37-17)을 있다라 꺾은 한국은 중국과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후반 10분 정도까지 팽팽한 접전을 펼치다가 결국 24-21, 3점 차 승리를 거뒀다. 한국은 7일 A조 2위 카자흐스탄과 결승 진출을 놓고 맞대결을 펼친다. 우리나라는 앞서 열린 16차례 아시아선수권에서 13번이나 정상에 오른 아시아 최강이다. 한국 외에 이 대회 우승 경력이 있는 나라는 카자흐스탄(2002년·2010년)과 일본(2004년) 뿐이다. 카자흐스탄과 일본은 모두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아시아선수권 타이틀을 가져갔다. 한국이 준결승전에서 카자흐스탄을 꺾는다면 9일 열리는 결승전에서 일본과 만날 확률이 크기 때문에 한국은 우승으로 가는 길목에서 역대 우승팀을 잇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