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해진 뇌동맥의 약해진 부분이 풍선처럼 부풀어오르는 질환인 뇌동맥류. 뇌동맥류가 파열돼 지주막하 출혈이라는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사망률이 30%에 달한다. 뇌동맥류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부 혈관벽에 지속적으로 높은 압력이 가해지면서 혈관벽이 손상을 받아 탄력이 감소하고, 부풀어 오르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흡연이나 고혈압, 유전적 요인 등이 위험인자로 꼽힌다. 윌스기념병원 심·뇌·혈관센터 장인석 원장은 “뇌동맥류가 파열되기 전까지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며 “건강검진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되거나, 뇌동맥류의 크기가 커져 주위에 있는 뇌신경이나 뇌조직을 압박해 사시·복시·시력저하·걸음걸이 이상 등 신경학적 증상으로 검사를 하다가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뇌동맥류가 발견된 대다수 환자들이 언제 터질지 모른다는 공포감을 갖고 있는데, 뇌동맥류를 그냥 뒀을 때 파열될 확률은 연간 1% 정도다. 하지만 크기가 크고 모양이 불규칙 할수록 파열 위험이 크고, 위치에 따라서도 위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뇌동맥류 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금연과 혈압조절이다. 혈압을 갑작스
일반비만(체질량지수≥25kg/㎡)과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성 90cm, 여성 85cm 이상)을 동시에 가진 환자들의 무릎 관절염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정형외과 박도준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해 국내 50세 이상 성인 110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일반비만과 복부비만이 무릎 관절염에 미치는 위험도와 2년간의 비만 상태 변화에 따른 무릎 관절염 발생과의 연관성을 연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복부비만인 경우 일반인에 비해 무릎 관절염 발생 위험이 1.17배, 일반비만인 경우 1.28배, 일반비만과 복부비만을 동시에 가진 경우 1.41배로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비만과 복부비만 모두 관절염의 위험도를 높이며, 두 종류의 비만을 동시에 갖고 있으면 위험도는 가중됐다. 특히, 젊은 연령층과 여성에서 비만 상태와 무릎 관절염 발생의 연관성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일반비만과 복부비만을 동시에 가진 경우 무릎 관절염 발생 위험도가 일반인에 비해 남성은 1.32배, 여성은 1.51배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80대 이상에서는 1.24배, 70대에서는 1.27배, 60대에서는 1.
면역계 이상으로 인한 만성 염증성 전신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외 증상이 흔히 동반되며 특히 폐침범이 흔하다. 그 중 간질성 폐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사망 원인 두 번째로, 조기 치료하지 않으면 약 10%가 중증 폐침범으로 진행하며 진단 후 평균 생존기간이 5~8년 정도인 심각한 합병증이다. 아주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현아·김지원 교수팀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KOBIO(대한류마티스학회 산하 임상연구위원회)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2266명 중 간질성 폐질환을 동반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159명과 미동반 환자 477명을 대상으로, 기존 생물학적 제제와 최신 경구 표적치료제의 약제 유지율과 안전성을 분석했다. 대표적인 항류마티스 약제들이 폐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의거해,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초기부터 폐침범 치료를 위한 생물학적 제제 또는 경구 표적치료제를 고려하며 이에 대해 5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생물학적 제제와 경구 표적치료제의 약제 유지율은 간질성 폐질환 동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즉 치료효과 및 안전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간질성 폐질환 동반 환자군에서 경구 표적치료제의…
남녀 모두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HPV(Human Papilloma virus, 인간유두종바이러스)는 종류만 200종이 넘는다. 이 중 40종 이상이 직접적인 성접촉을 통해 전염되는데 성을 매개로 하는 탓에 성생활을 하는 남녀 누구나 감염될 수 있다. HPV에 감염된다 해도 대부분 증상이 없고 자연적으로 소멸된다. 다만, 지속적으로 감염될 경우 여성에게는 자궁경부암, 질암, 외음부암, 남성에게는 두경부암, 항문암, 생식기 사마귀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HPV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60만 사례 이상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체 암의 약 5.2%에 해당된다. ◇ 남녀 모두 HPV 백신 접종 필요 ‘자궁’이 없는 남성이 왜 HPV 백신을 맞아야 하는지 의문이 자주 제기되는데, 남성의 HPV 백신 접종은 남성 본인의 건강관리에 유익하다. 남성의 HPV 6, 11, 16, 18형에 대한 평균 자연항체 생성률이 7.7%로 낮기 때문이다. 이는 백신 접종 없이는 HPV 감염을 막을 길이 없다는 뜻이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전 세계 자궁경부암 퇴치 계획에 따르면 남녀 HPV백신 접종률이 75%를 달성할 때 HPV 16형을 포함한…
“저랑 내기하실래요. 주여, 그 자를 나의 길로 인도하도록 허락하여 주십시오. 장담하는데 주님께선 그 자를 잃게 될 것입니다.” 신과 천사들이 모인 자리, 악마 메피스토가 등장해 마이크를 든다. 그는 악랄한 인간들 때문에 “지금 지상은 최악”이라며 불평을 늘어 놓고는 신에게 내기를 제안한다. 신의 종인 노학자 파우스트를 유혹해 타락시킬 수 있는지, 없는지.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20대부터 죽기 직전까지 60년에 가까이 걸쳐 완성한 대작 ‘파우스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괴테의 청년시절부터 고전주의에 심취해있던 중년, 이상향을 꿈꾸던 노년까지 그가 그린 일생의 사유와 철학이 고스란히 담긴 작품이다. 지난달 31일부터 서울 LG아트센터 무대에 올라 관객을 만나고 있는 연극 ‘파우스트’는 이 중 ‘비극 제1부’를 다룬다. 파우스트가 메피스토와 영혼을 건 계약을 맺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로, 인간이 가진 고뇌와 욕망을 드러낸다. 많은 사람들에게 현자라는 칭송을 들을 만큼 철학, 법학, 의학, 신학 등 평생동안 학문에 매진해온 파우스트. 그는 평생을 바친 연구들에도 결국 “인간은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인생에 대한 깊은 회의감에 빠져 있다. 이 때,
용인문화재단(이사장 이상일)은 오는 18일과 27일에 용인포은아트홀에서 ‘2023 지역 민간교향악단 지원육성사업’ 선정단체인 ‘웨스턴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용인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기획공연을 개최한다. 용인시를 기반으로 활발히 활동해온 두 단체(웨스턴심포니, 용인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이번 2023년 봄맞이 기획공연을 통해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클래식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18일 진행되는 ‘웨스턴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스프링 칸타빌레’는 따뜻한 봄의 느낌에 맞는 음악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싱그럽고 활기찬 공연으로 관객의 흥미를 이끌 예정이다. 기존 클래식 연주와 함께 바리톤 우주호, 소프라노 유성녀의 하모니가 흐르는 성악곡을 더했고, 화려한 음색을 자랑하는 색소포니스트 김성훈의 연주 등 대중음악들로 무대를 꾸민다. 또 27일 열리는 ‘용인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차이코프스키-비창’ 공연은 용인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마스터피스 교향곡 시리즈로, 낭만주의 시대의 거장인 차이코프스키 작품들로 연주된다. 한국 바이올린의 거장 김응수의 협연으로 더욱 풍성한 음악회를 만들 예정이다. 이번 공연들은 용인문화재단 ‘2023 지역 민간교향악단 지원육성사업’의 일환으로 기획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는 오는 22일 경기국악원 국악당에서 2023년 첫 번째 레퍼토리 시즌 공연으로 ‘시나위 악보가게 - 민요연습실’을 진행한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예술감독 원일)는 장기간 팬데믹으로 침체된 있는 도민들을 위로하고 일상회복을 응원하기 위해 지난해 9월 경기아트센터 야외무대에서 ‘시나위 악보가게’를 처음 선보인 바 있다. 올해 새롭게 돌아온 ‘2023 시나위 악보가게’에서는 더욱 다채로운 레퍼토리로 무대를 채울 예정이다. ‘2023 시나위 악보가게’는 관현악 외에 경기민요를 중심으로 한 성악앙상블 ‘소리봄’과 연희앙상블 ‘궁궁’을 보유한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만의 특징을 살려 민요, 관현악, 연희 등 각기 다른 색깔을 가진 장르들로 총 4가지 주제로 구성된다. 그 중 첫 번째 작품인 ‘민요연습실’은 소리꾼 이희문이 연출과 음악감독을 맡아 그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펼쳐낸다. 관객석을 무대 위로 올려, 관객과 소리꾼이 더 가까이 소통하며 즐길 수 있는 색다른 무대를 구현한다. 이희문 연출은 “이러한 구성은 시각 및 청각적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연주자와 관객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연은 전석 2만 원으로, 초등학
수원시립교향악단은 오는 13일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에서 제285회 정기연주회 ‘라흐마니노프’를 개최한다. 러시아 태생 작곡가·피아니스트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연주회는 라흐마니노프(1873~1943)의 탄생 150주년과 타계 80주기를 기념하며 라흐마니노프 탄생 월인 4월에 개최된다. 수원시향 예술감독이자 상임지휘자인 최희준 지휘자의 지휘와 피아니스트 박종화의 협연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첫 곡으로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가 연주된다. 보칼리제는 가사 없는 가곡이라는 뜻으로, 뚜렷하고 간결성 있게 흐르는 주선율이 곡 전체를 이끈다. 이어 서울대 음대 교수, 박종화 피아니스트가 협연자로 나서,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을 자신만의 해석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마지막 곡으로는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3번을 연주한다. 이 곡은 라흐마니노프가 미국으로 망명을 떠난 후 남긴 말년 작품으로 그의 원숙한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다. 라흐마니노프가 이 곡을 자신의 작품 중 최고의 작품 이라고 생각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만큼 라흐마니노프 고유의 서정성과 화려한 선율이 돋보인다. 제285회 정기연주회는 R석 2만 원, S석 1만 원으로, 만…
의정부문화재단(대표이사 박희성)은 오는 6월 22일까지 의정부예술의전당 야외광장에서 크라운해태와 함께하는 2023 상반기 ‘견생조각전’을 선보인다. ‘견생조각전(見生彫刻展)’은 현대조각의 저변확대와 의정부문화재단의 예술공간 이미지 개선을 위해 기획됐다. 크라운해태 아트밸리의 원로, 중진 작가들 작품을 연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전시한다. 이번 상반기 전시에서는 아트밸리의 중추 작가 24명의 작품 중 시민들에게 작품 선호도 조사를 진행해 선정된 13점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의정부예술의전당 야외광장에서 ▲조영철(Quadruped) ▲송효근(곰돌이) ▲박민섭(버티기) ▲조요환(대지의 꿈) ▲전신덕(새벽) ▲고근호(기다리는 사람들) ▲전덕제(어머니의 보석지갑) ▲김원근(엔젤맨) ▲이정주(교감) ▲테즈킴(집에 가는길) ▲이용태(Ostrich) ▲김정도(옮겨지는 치즈) ▲장진연(아빠의 청춘)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관람료는 무료이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동부지구관리소(소장 김용욱)는 지난 6일 한식(寒食)을 맞아, 구리 동구릉 내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健元陵) 봉분을 덮고 있는 억새(靑薍, 청완)를 자르는 ‘청완 예초의’(靑薍 刈草儀)를 거행했다. 이날 평소 고요하고, 한적했던 건원릉 주변이 분주했다. 오전 9시30분이 되자, 능침을 살피는 봉심헌관을 맡은 조선왕릉동부지구관리소장의 뒤를 따라 8명의 예초꾼들이 1년간 덥수룩해진 건원릉 앞에 모였다. 건원릉은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봉분이 억새로 덮여있는데, 조선왕조실록 등 기록에 따르면, 태조(1335~1408년)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조성했다고 전해진다. 예부터 건원릉 억새는 1년에 한 번 한식날 예초를 했다. 문화재청은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기 위해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듬해인 2010년부터 매년 한식날 억새를 베는 ‘청완 예초의’를 거행하고 있다. 올해 ‘청완 예초의’는 그동안 코로나19로 의식을 최소화하고 일반 관람객의 참여를 제한한 채 진행되다가 4년 만에 대중에 공개됐다. 관람객들은 “낫으로 일일이 베는 줄 몰랐다”, “시원하겠다” 등 이야기를 나누며 마구잡이로 자란 억새를 거둬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