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파리 올림픽 국가별 종합 순위에서 톱10에 오른 국가 중 대한민국 선수단의 참가선수 대비 메달 획득률이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선수단은 지난 달 27일부터 1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3회 하계올림픽에서 금 13개, 은 9개, 동메달 10개 등 총 32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국가별 종합 순위 8위에 올랐다. 미국이 금 40개, 은 44개, 동메달 42개로 중국(금 40·은 27·동 24)을 은메달 수에서 따돌리고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일본(금 20·은 12·동 13)과 호주(금 18·은 19·동 16), 프랑스(금 16·은 26·동 22), 네덜란드(금 15·은 7·동 12), 영국(금 14·은 22·동 29)이 뒤를 이었다. 이탈리와(금 12·은 13·동 15)와 독일(금 12·은 13·동 8)이 한국에 이어 9위와 10위에 올라 톱10에 포함됐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금메달 13개로 2008년 베이징 대회(은 11·동 8)와 2012년 런던 대회(은 9·동 9) 때 기록했던 역대 하계올림픽 최다 금메달 타이기록을 세웠다. 또 1988년 서울 대회 33개(금 12·은 10·동 11)에 이어 베이징 대회 때와 같은 32개
2024 파리 올림픽에 출전한 경기도 선수단이 대한민국이 획득한 전체 메달의 28%를 수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체육회가 1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는 이번 파리 올림픽에 10개 종목 21명(임원 6명)의 선수을 파견해 금 2개, 은 3개, 동메달 4개 등 총 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참가 선수 규모로는 대한민국 참가 선수 143명(임원 117명·전체 선수단 260명)의 14.7%에 해당하고 메달 획득으로는 대한민국 전체 메달 32개(금 13·은9·동 10) 중 28.13%에 달한다. 경기도 선수단은 지난 달 27일 열린 사격 10m 공기소총 혼성 단체에서 금지현(경기도청)이 은메달을 획득한 것을 시작으로 29일 양궁 남자 단체전에서 이우석(코오롱엑스텐보이즈)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30일에는 유도 남자 81㎏급 이준환(용인대)이 동메달을 수확했다. 또 지난 2일 유도 남자 +100㎏급 김민종(양평군청)이 은메달을, 여자 +78㎏급 김하윤(안산시청)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3일 유도 혼성 단체전에서도 김민종, 김원진(양평군청), 김하윤, 안바울(남양주시청), 윤현지(안산시청), 이준환이 동메달을 합작했다. 4일 열린 양궁 남자 개인전에서는 이우석이 동
2024 파리 올림픽에 출전한 한국 선수단의 첫 여정이 개막 이틀 전이 25일 시작된다. 한국 양궁선수단은 25일 오후 4시30분 프랑스 레쟁발리드에서 사전경기로 열리는 양궁 여자 랭킹 라운드에 출전한다. 한국 선수단의 첫 공식 일정이다. 이어 오후 9시15분부터는 양궁 남자 랭킹 라운드가 같은 장소에서 이어진다. 양궁 랭킹 라운드는 개인과 단체전 대진표를 정하는 경기로 이날 메달이 나오지는 않지만 메달경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 의미있는 일정이다. 남자부에서는 전국체육대회에 경기도대표로 출전하는 이우석(코오롱엑스텐보이즈)을 비롯해 김우진(충북 청주시청), 김제덕(경북 예천군청)이 출전하고 여자부에서는 임시현(한국체대), 전훈영(인천시청), 남수현(전남 순천시청)이 나선다. 한국은 개인전 초반에 우리 선수들끼리 맞붙는 경우를 줄이기 위해서 랭킹 라운드 상위권 성적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랭킹 라운드에서 한국 선수 가운데 남녀 1위를 차지한 선수들이 혼성 단체전에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대회 3관왕에 오를 기회가 생긴다. 2021년에 열린 도쿄 올림픽 때도 김제덕과 안산(광주은행)이 나란히 랭킹 라운드 1위를 차지해 혼성 단체전 출전권을 따냈고,
경기도청 스키팀이 제104회 전국동계체육대회를 앞두고 열린 전국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전국동계체전 메달 전망을 밝혔다. 위재욱 감독이 이끄는 경기도청은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강원도 평창군 알펜시아 크로스컨트리경기장에서 열린 제77회 전국스키선수권대회 크로스컨트리에서 금 3개, 은 4개, 동메달 3개를 수확했다. 경기도청은 이번 대회 남자부에 정종원, 변지영, 이건용, 여자부에 한다솜, 하태경, 제상미 등 6명이 출전했다. 대회 첫 날 열린 남자부 15㎞ 클래식에서 정종원이 45분48초3으로 1위에 오르고 첫 금메달을 획득한 경기도청은 같은 종목에 출전한 변지영이 45분51초7로 준우승을 차지했고 여자부 10㎞ 클래식에서 한다솜이 37분10초9로 동메달을 추가했다. 대회 이틀째 진행된 남자 30㎞ 프리에서는 정종원(1시간21분01초3), 변지영(1시간21분25초9), 이건용(1시간21분47초7)이 금·은·동메달을 싹쓸이했고 여자부 15㎞ 프리에서도 한다솜이 46분48초5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경기도청의 메달행진은 대회 마지막 날에도 이어졌다. 남자부 스프린트 1㎞에서 이건용이 우승을 차지했고 여자부 스프린트 1㎞에서는 한다솜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경기도가 제16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에서 8회 연속 최다 메달 획득을 달성했다. 경기도는 20일 경북 일원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육상, 수영, e스포츠, 조정, 배드민턴 등에서 메달을 추가해 금 58개, 은 40개, 동메달 59개 등 총 157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대회를 마무리 했다. 충남이 금 29개, 은 46개, 동메달 41개 등 총 116개의 메달로 2위에 올랐고 충북이 금 58개, 은 32개, 동메달 23개 등 총 113개의 메달로 3위를 차지했다. 인천시는 금 16개, 은 14개, 동메달 13개 등 총 43개의 메달을 수확했다. 종목별로는 효자종목 수영이 금 21개, 은 9개, 동메달 16개 등 총 46개의 메달로 충북(금 12·은 4·동 6)과 인천시(금 5·은 5·동 6)를 제치고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열리지 않은 제14회 대회를 제외하고 7회 연속 종목우승을 차지했고, 농구도 금 1개, 은메달 1개 등 총 2개의 메달로 경북(금 1·동 1)과 서울시(동 2)를 따돌리고 6회 연속 정상에 등극했다. 또 e스포츠는 금 10개, 은 5개, 동메달 9개 등 총 24개의 메달로 충북(금 6·은 3·동 2)과 전남(은 3·동 7)을 꺾고 5회
김진헌(용인 포곡중)과 여은별(의정부 회룡중)이 제16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에서 나란히 4관왕에 등극했다. 김진헌은 19일 경북 김천시 김천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수영 남자 중등부 자유형 200m S14(지적) 결승에서 2분34초12로 현도윤(안산 경수중·2분41초34)과 김규민(오산 원일중·2분49초69)을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김진헌은 이어 열린 남자중등부 평영 100m S14 결승에서도1분25초86으로 옥진표(인천시·1분41초09)와 김민혁(용인 용천중·1분52초84)을 꺾고 우승했다. 이로써 김민혁은 평영 50m와 혼계영 200m 우승에 이어 이날 금메달 2개를 추가하며 4관왕이 됐다. 또 여자 중등부 S14 자유형 50m와 100m에서 1위에 올랐던 여은별은 이날 배영 50m에서 42초08로 조민(전북·45초62)과 한수민(충북·47초24)을 꺾고 1위에 오른 뒤 초·중·고 통합 계영 200m에서도 정하영(부천 범박고), 이슬기, 황신(이상 안산 명혜학교)과 팀을 이뤄 경기선발이 3분14초05로 대전선발(4분06초48)을 제치고 우승하는 데 기여하며 4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수영 남자 초등부 배영 50m S14 결승에서는 자유형 50m와 100
하다은(고양 한류초)이 제16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에서 3관왕에 올랐다. 하다은은 18일 경북 김천시 김천실내수영장에서 열린 대회 이틀째 수영 여자 초·중·고 통합 자유형 50m S7~S8(뇌성마비) 결승에서 1분04초06으로 강은지(세종·2분15초21)와 김현지(충북·2분20초86)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전날 자유형 100m와 배영 50m에서 정상에 올랐던 하다은은 이날 금메달을 추가하며 3관왕에 등극했다. 또 수영 남자 초·중등부 자유형 50m S5~S6(뇌성마비) 결승에서는 김현서(용인 이현중)가 44초85로 안성빈(광주광역시·47초39)과 장은결(대전시·1분19초26)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하며 전날 자유형 100m와 배영 50m 우승에 이어 3관왕에 이름을 올렸다. 수영 남자 초·중·고 통합 자유형 50m S9~S10(지체)에서는 박정호(수원 매탄고)가 32초25로 이동렬(부산시·37초17)과 김시환(경북·1분47초60)을 꺾고 우승한 뒤 남자 중고등부 접영 50m S9-S10(지체)에서도 35초95로 이동렬(부산시·48초65)을 누르고 두번째 금메달을 획득했다. 수영 남자초등부 자유형 100m S14(지적) 우승자 김재훈(용인 다움학교)은 5
2020 도쿄패럴림픽 탁구에 출전한 윤지유(21·성남시청)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2회 연속 메달을 목에 걸었다. 윤지유는 28일 일본 도쿄 메트로폴리탄 체육관에서 열린 탁구 여자 TT1-3 단식 4강전에서 중국 쉐쥐안을 상대로 풀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2-3(12=14, 11-9, 9-11, 11-6, 8-11)으로 패하며 결승 진출이 좌절됐다. 도쿄 대회에서는 3·4위전을 치르지 않고 공동 3위로 시상하기 때문에 윤지유는 동메달을 확보했다. 경기도 출신으로 첫 메달을 딴 윤지유는 지난 2014 리우데자네이루패럴림픽 단체전 은메달에 이어 개인 단식 첫 패럴림픽 메달을 따냈다. 탁구 여자단식 TT1-2에 출전한 서수연(35·광주시청)도 ‘만리장성’의 벽에 막히며 아쉽게 금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서수연은 28일 도쿄 메트로폴리탄 체육관에서 열린 도쿄패럴림픽 탁구 여자단식 결승에서 ‘디펜딩 챔피언’ 중국 류징을 상대로 세트스코어 1-3(7-11, 8-11, 11-4, 8-11)으로 패했다. 2016년 리우에서 은메달을 딴 서수연은 2회 연속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서우연은 5년 전 대회에서도 류징에 막혀 금메달 획득에 실패한 바 있다. 서수연과 윤지유는 31일 이
박희준이 한국 가라테 역사상 최초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대한카라테연맹은 “박희준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최종예선 남자 카타에서 올림픽 본선 출전권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2018 자카르타-팔렘방아시안게임서 한국 최초로 가라테 카타 종목에서 동메달을 딴 박희준은 한국 역사상 가라테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는다. 박희준이 딴 동메달은 가라테 종목 대한민국 유일 메달이다. 박희준이 출전하는 ‘카타’는 가상의 적을 상정해 미리 정해진 연속 동작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연출하는지를 심판 5명이 평가해 순위를 정한다. 세계 랭킹 19위인 박희준은 최종예선 결승에서 1승 2패로 3위를 차지했다. 대한카라테연맹 측은 “가라테는 일본이 종주국인 유도로, 검도에 비해 한일관계가 악화될 때마다 국내서 좋지 않은 편견을 받기도 했다”며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편견들이 사라지길 바라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서 국내 저변을 넓혀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직장경기운동부를 비롯해 실업팀조차 없어 선수들이나 지도자들이 어려운 여건에서 생활하며 운동하고 있다는 점을 국민들이 알아주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