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수족냉증, 겨울철 발생 ‘빈번’…방한·스트레스 관리 신경 써야
올겨울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며 수족냉증을 겪는 이들의 불편이 더해지고 있다. 수족냉증은 추위가 느껴지지 않는 온도에서도 손과 발이 지나치게 차가운 상태를 일컫는 질환으로, 특히 겨울철에 더욱 빈번히 발생돼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까지 수족냉증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추위나 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긴장 등 외부 자극에 의해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과 발의 말초 부위에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 특히 출산을 끝낸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여성에게 흔히 나타난다. 이는 여성호르몬의 변화가 자율신경계와 혈관의 수축·확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데 자율신경과 호르몬 대사가 부조화될 경우 수족냉증에 걸리게 된다. 남성들의 경우 운동 부족으로 인해 근육량이 떨어질 경우 혈액순환의 문제로 수족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은 주로 춥지 않은 곳에서도 손발이 차고 시리며, 때로 무릎이 시리거나 아랫배, 허리 등 다양한 신체에서 찬기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다. 문제는 수족냉증의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수족냉증은 레이노증후군이나 류마티스관절염, 말초신경질환, 갑상선저하증 등의 원인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