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K리그1 수원FC의 1부리그 잔류에 기여한 이승우가 2023시즌 연봉랭킹 5위에 올랐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4일 2023시즌 K리그 구단별 연봉 현황을 발표했다. 연맹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승우는 연봉 11억 1000만원으로 김영권(울산 현대·15억 3000만원), 김진우(전북 현대·14억 2000만원), 조현우(울산·13억원), 홍정호(전북·11억 7000만원)에 이어 5번째에 자리했다. 연봉은 기본급과 각종 수당(출전 수당, 승리 수당, 공격 포인트 수당 및 기타 옵션 등)을 더한 실지급액 기준이며, 수당에는 2022시즌 K리그와 대한축구협회(FA)컵,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경기에 대한 액수가 포함됐다. 외국 선수 중에서는 대구FC의 간판 세징야가 15억 5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바코(울산·15억 2000만원), 구스타보(전북·14억 6000만원), 제르소(14억 1000만원), 음포쿠(13억 2000만원·이상 인천 유나이티드)가 뒤를 이었다. 2023시즌 K리그1 11개 구단이 지출한 연봉 총액은 1천385억6천712만3천원으로 집계됐다. 수원 삼성은 연봉 총액 106억 8038만 9000원으로 전북(198억 767만 70
프로야구 kt 위즈의 올 시즌 연봉 상위 40명에 대한 총액이 10개 구단 중 8위인 것으로 확인됐다. KBO 사무국은 20일 2023년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 금액을 발표하면서 10개 구단이 샐러리캡 상한액인 114억 2638만 원을 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날 KBO가 발표한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액을 보면 kt 위즈는 94억 8300만 원으로 샐러리캡 상한액보다 19억 4338만 원이 적다. 구단별 연봉 총액으로는 10개 구단 중 8번째다. 올해 연봉을 가장 많이준 구단은 두산 베어스로 111억 8175만 원을 기록했고 SSG 랜더스가 108억 4647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올 시즌 통합우승을 차지한 LG 트윈스가 107억 9750만 원으로 세번째를 기록했고 롯데 자이언츠(106억 4667만 원)가 4위, 삼성 라이온즈(104억 4073만 원)가 5위를 차지했다. 또 NC 다이노스가 100억 8812만 원으로 6위, KIA 타이거즈가 98억 7771만 원으로 7위에 올랐으며 한화 이글스(85억 3100만 원)가 9위, 키움 히어로즈(64억 5200만 원)이 최하위를 기록했다. KBO는 리그 전력 상향 평준화를 통한 지속 발전
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가 K리그 신인 선수들의 최저 연봉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근호(대구FC) 선수협 회장은 11일 “프로축구 신인 선수의 최저 연봉은 2016년 자유계약이 처음 도입된 시절부터 지금까지 2400만원으로 변화가 없었다”면서 “살인적 물가상승률과 현재 최저 시급을 고려하면 선수들의 최저 연봉이 너무 적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현실에 맞게 신인 선수들의 최저 연봉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수협 부회장으로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준비하는 염기훈(수원 삼성)도 “저는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보내고 있지만, 조카뻘인 어린 선수들을 보면 안타깝다”며 “신인 선수들이 ‘투잡’을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라 운동만 해야 하는 데 이같은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밝혔다. 염기훈은 이어 “신인들의 연봉을 많이 올려달라는 게 아니라 기본적인 처우를 개선해달라는 뜻”이라며 “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생계를 걱정하는 선수들이 자연스럽게 승부조작 등 ‘검은 유혹’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만큼 조속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오는 4월 2일 개막하는 2022 프로야구에서 한 시즌 평균 연봉 신기록이 나왔다. KBO는 21일 ‘2022시즌 KBO리그 선수단 연봉 현황’을 공개했다. 신인과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10개 구단 소속 선수 527명의 평균 연봉은 1억 5,259만원으로 집계돼 지난 2019년 기록한 종전 최고 평균 연봉(1억 5,065만원)을 194만원 넘어섰다. 이는 2019년 평균 연봉보다 1.3% 증가한 것이다. KBO는 “KBO리그를 대표하는 핵심 선수들의 대형 자유계약선수(FA) 계약과 비 FA 선수들의 다년 계약이 다수 성사되면서 나온 결과”라고 분석했다. KBO는 또 지난해 억대 연봉 선수가 161명에서 올해 158명으로 줄어들었음에도 평균 연봉이 올라갔다는 것은 고액 연봉자의 연봉 증가가 평균 연봉을 끌어올렸다고 덧붙였다.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외국인 선수와 신인을 제외한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팀은 SSG 랜더스로 2억 7,044만원이다. SSG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1억 7,421만원에서 무려 55.2% 증가해 10개 구단 중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NC 다이노스가 평균 연봉 1억 8,853만원으로 지난해(1억 4,898만원)보다 26.5% 상승
프로야구 kt 위즈의 간판타자 강백호가 2022시즌 연봉계약에서 최고 인상액을 기록했다. kt는 3일 2022시즌 재계약 대상 선수 58명과 연봉 계약을 마쳤다고 밝혔다. 강백호는 지난 시즌 연봉 3억 1,000만원에서 올 시즌 5억 5,000만원으로 2억 4,000만원이 올라 재계약 대상자 중 가장 높은 인상액을 기록했다. 강백호의 올 시즌 연봉 5억 5,000만원은 지난 시즌 이정후가 기록한 KBO 역대 5년차 최고 연봉 타이기록이다. 또 지난 시즌 1억 2,000만원을 받았던 투수 고영표는 올 시즌 연봉 3억원으로 150%가 인상돼 최고 인상률을 보였다. 고영표는 지난 시즌 26경기에서 11승 6패, 평균자책점 2.92를 기록하는 등 에이스 역할을 했다. 이밖에 외야수 배정대는 지난 해 1억 4,000만원에서 올해 2억 6,000만원으로 1억 2,000만원이 인상되면서 야수 중 인상률(86%)이 가장 높았고 투수 김민수(1억 1,500만원)와 박시영(1억 2,000만원)은 데뷔 후 처음 억대 연봉 반열에 올랐으며, 야수 신본기(1억 1,500만원)도 억대 연봉자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이번 시즌 kt의 억대 연봉자는 13명이 됐다. 반면 지난 시즌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