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민(경기체고)이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체조 여자 18세 이하부 마루에서 금빛 연기를 펼쳤다. 임수민은 27일 부산사직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에서 사전경기로 벌어진 대회 체조 여자 18세 이하부 마루 결승에서 13.133점을 획득하며 같은 학교 후배 박나영(12.867점)과 황서현(인천체고·12.800점)을 꺾고 패권을 차지했다. 이로써 임수민은 제104회 대회부터 3년 동안 여자 18세 이하부 마루 정상을 지켰다. 이밖에 체조 남자일반부 링 결승에서는 서정원(수원시청)이 14.275점을 마크하며 손종혁(부산시체육회·14.075점)을 제압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실업팀에 입단한 후 첫 전국체전 우승이다. 서정원은 고등학생 신분으로 출전한 제102회 대회에서 3관왕을 차지했지만, 제103회 대회부터는 금메달과 연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 대회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전국의 쟁쟁한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정상에 등극, 우승의 기쁨을 만끽했다. 남일부 철봉에서는 전요섭(수원시청)이 12.900점으로 이준호(충남체육회·13.600점), 강평환(경남체육회·13.400점)에 뒤져 3위에 만족했다. 서낙동강조정카누경기장에서 벌어진 카누 종목에서는 유은상과 최지호(이
경기도청이 '제50회 KBS배 전국기계체조대회'에서 금메달 3개 등 총 6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다. 장경환 코치가 지도하는 경기도청은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강원 홍천종합체육관서 열린 대회 여자일반부에서 금 3개, 은 2개, 동메달 1개 등 총 6개 메달을 수확했다. 특히 여일부 단체전에서는 2018년 이후 7년 만에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경기도청은 구래원, 박지연, 연세민, 김수빈, 김시은, 류지민, 성가은으로 팀을 결성해 출전한 단체전에서 구성미와 정교함을 갖춘 연기를 선보이며 정상을 밟았다. 이밖에 구래원은 여일부 개인종합 금메달을 포함해 평균대 2위, 평행봉에서 3위에 입상하며 뛰어난 기량을 뽐냈다. 또 김수빈은 여일부 평균대에서 패권을 차지했다. 경기도체육회는 경기도청 체조팀이 개인 기량과 팀워크를 겸비한 완성도 높은 경기력을 통해 단체전과 개인전서 두각을 나타냈다라고 평가했다. 이원성 도체육회장은 "선수들이 땀 흘려 준비한 만큼 좋은 성적이 나와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 경기도체육회는 도청 체조팀의 경기력 향상과 종목 위상 제고를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청의 이번 성과는 체계적인 훈련시스템과 선수 개개인의
경기체고(교장 김호철)가 ‘전국체고 대항전’에서 종합 준우승을 차지했다. 경기체고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울산스포츠과학고에서 열린 제38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전국체육고등학교 체육대회에서 금 37개, 은 23개, 동메달 27개 등 총 87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서울체고(금 43·은 32·동 39)에 이어 종합 2위에 올랐다. 경기체고는 이번 대회 11개 종목에 162명의 학생선수를 파견했다. 종목별로는 근대5종에서 금 5개, 은 2개, 동메달 4개 등 총 11개의 메달로 종목 1위에 올랐고 체조(금 5·은 1·동 1)와 핀수영(금 5·은 1·동 1)에서도 각각 종목 우승을 달성했으며 수영(금 8·은 11·동 8)은 종목 3위에 입상했다. 이밖에 육상에서 금 2개, 은 2개, 동 1개, 유도에서 금 2개, 은 3개, 동 4개, 사격에서 금 1개, 동 1개, 레슬링에서 금 2개, 동 3개, 역도에서 금 6개, 은 3개, 동 3개, 복식에서 금 1개, 양궁에서 동 1개를 획득했다. 다관광 부문에서는 체조 임수민(2년)과 역도 전유빈, 허민지, 핀수영 배자유(이상 3년)가 각각 3관광에 올랐고, 핀수영 이승훈, 근대5종 강도훈(이상 3년), 김건하, 임태경, 문소유
수원특례시와 오산시가 제34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체조 1, 2부에서 나란히 정상에 올랐다. 수원시는 지난 2일과 3일 이틀간 고양특례시 고양어울림누리체육관에서 사전경기로 열린 체조 1부에서 종목점수 909점으로 부천시(900점)와 안산시(896점)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수원시는 일반부에서 470점으로 부천시(468점)와 안양시(451점)를 제치고 1위에 오른 뒤 어르신부에서도 439점으로 안산시(460점)와 성남시(458점)에 이어 3위에 입상하며 종목우승을 확정했다. 또 오산시는 체조 2부에서 889점으로 광명시, 이천시와 동점을 기록했지만 참가인원 수에서 25명으로 광명시(20명)와 이천시(16명)보다 많아 종목 1위에 등극했다. 오산시는 일반부에서 455점으로 광명시(453점)와 가평군(452점)을 꺾고 1위를 차지한 뒤 어르신부에서는 434점으로 이천시(447점)와 광명시(436점)에 이어 3위에 입상했다. 한편 1부 성남시(885점)와 2부 동두천시(864점)는 각각 장려상을 받았고 부천시 유영복 씨는 최고령상을 수상했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마지막 전국소년체전에서 더 많은 금메달을 딸 수 있었는데 그렇지 못해 조금 아쉬워요. 내년부터는 전국체육대회에 출전하게 되는데, 잘 하는 언니들이 있어 경기도대표로 선발되는 것이 쉽지 않겠지만 언니들과 대결이 기다려져요.“ 지난 달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 동안 울산광역시 일원에서 열린 ‘제52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체조 여자 16세 이하부에서 3관왕에 오른 박나영(경기체중)은 “고등학생이 되면 실력 좋은 선배들과의 대결이 기대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나영은 제52회 대회 여자 16세 이하부 이단평행봉과 도마, 개인종합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대회 3관왕에 올랐다. 이후 평균대 경기 중 오른쪽 발목 부상을 입은 그는 본인이 자신 있어 했던 마루운동을 포기하면서 더 이상의 메달을 추가하지 못했지만 초연한 태도를 보였다. 현재 국가대표인 그는 전국소년체전을 마친 뒤 진천선수촌으로 합류해 오는 10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제16회 기계체조 주니어 아시아선수권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박나영은 “대회 입상에 욕심을 내기보다는 국제대회를 경험한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기술을 완벽하게 구사하는 것에 집중하겠다”라고 각오를 밝혔다. 전국소년체전
경기도체조협회가 제52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체조 경기도 대표선발전을 열고 대표선수 명단을 확정했다. 도체조협회는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 동안 수원북중 체육관에서 2023년 경기도교육감기 체조대회를 겸해 열린 도대표선발전에서 총 26명의 선수를 선발했다. 남자중등부에서는 1~3위를 차지한 안재욱, 조은준, 이세온을 비롯해 명건우, 우대한(이상 수원북중), 전승수(고양 일산중), 이시현(경기체중)이 경기도 대표로 뽑혔고 여중부에서는 안소윤, 원보경, 박나영(이상 경기체중), 조한나, 서지율(이상 주네스트짐클럽)이 도 대표에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남초부에서는 최시호(평택 성동초), 이재원(수원 세류초), 김아성, 안재현, 김하명(이상 수원 영화초), 금민수(고양 안곡초), 정희민(일산초)이 발탁됐고 여초부에서는 임시은, 변지우, 김도영, 남윤아, 신예원(이상 용인 신갈초), 최소은(영화초), 서민채(세류초)가 도 대표에 합류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제33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사전경기가 지난 21일부터 사흘동안 용인특례시 일원에서 개최됐다. 탁구와 체조, 검도 종목은 이달 말에 진행되는 전국생활체육대축전과 일정이 겹치거나 체육관 사용문제 등으로 부득이하게 사전경기로 진행됐다. 탁구에서 화성시는 용인시와 수원시를 누르며 1부 종목 1위에 올랐고 2부에서는 군포시가 광명시와 의왕시를 제치고 정상에 섰다. 체조에서는 수원시가 910점을 획득해 성남시(900점), 부천시(883점)을 근소한 차이로 따돌리고 1부 종목 1위에 올랐고, 2부에서는 오산시가 910점을 획득하며 하남시(888점)와 동두천시(856점)를 따돌리고 우승했다. 또 검도에서는 용인시가 240점을 기록, 시흥시(160점)와 수원시(140점)를 제압하고 1부 종목 우승을 차지했고, 2부에서는 군포시가 200점으로 광명시(180점), 오산시(180점)를 제치고 패권을 안았다. 한편 제33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은 오는 28일부터 31일까지 4일 동안 용인시 일원에서 개최된다. [ 경기신문 = 유창현 수습기자 ]
한국 체조의 ‘에이스’ 윤진성과 여서정(이상 수원시청)이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나란히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윤진성은 남자 철봉에서, 여서정은 도마에서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윤진성은 19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9회 아시아선수권 대회 마지막날 남자 철봉 결선에서 14.167점을 획득해 정상에 올랐다. 린 차오판(중국)과 점수는 같았으나 동점시 실시(E-score) 점수에서 앞서면 승리한다는 규정에 따라 금메달을 차지했다. 윤진성은 난도(5.8점)에서 최고난도 6.1점을 기록한 린차오판보다 0.3점 낮았지만 실시에서 8.367점으로 린 차오판(8.067점)을 제쳤다. 윤진성과 린 차오판에 뒤를 이어 밀라드 카리미(카자흐스탄)는 14.133점으로 동메달을 가져갔다. 또 도쿄올림픽 동메달리스트 여서정(수원시청)은 아시아선수권대회 여자 도마 1위에 올랐다. 여서정은 지난 18일 열린 대회 도마 결선 무대에서 1, 2차시기 평균 14.084점을 기록해 13.884점을 얻은 미야타 쇼코(일본)를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서정은 성인 아시아선수권대회 첫 금메달을 신고했다. 여서정은 예선에서 전체 1위인 평균 13.950점으로 결선에 진출했으며, 결선 1차 시기에
“아시안게임, 올림픽과 같은 국제무대에 꼭 나가고 싶습니다.” ‘체조 꿈나무’ 박나영(경기체중)은 다음 목표인 올림픽 출전을 향해 힘차게 전진하고 있다. 박나영은 지난달 31일 마무리된 제51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체조 여자 16세 이하부에서 3관왕(단체종합, 개인종합, 이단평행봉)을 차지하며 대회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다. 박나영은 이번 소년체전에서 마루운동과 도마 종목에서도 은메달 2개를 추가하며 총 5개의 메달을 목에 걸었다. 소년체전 첫 금메달 신고와 함께 대회 개인 최다메달 기록도 작성하는 등 만개한 기량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소년체전이 지난 2020년과 2021년 코로나19로 정식 개최되지 않은 가운데 용인 신갈초 시절 박나영은 2018년 제47회 소년체전에서 동메달 1개를, 2019년 제48회 대회에선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한 바 있다. 박나영은 앞서 지난 4월에는 국가대표 선발전을 겸한 제77회 전국종별선수권대회에서 3관왕에 오르며 태극마크까지 다는 영광을 누렸다. 소년체전 첫 금메달부터 대표팀 발탁 경험까지 올 상반기 동안 박나영은 꿈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이명호 코치는 박나영을 한마디로 ‘노력형 선수’라고 말했다. 또 박나영
206개 참가국 선수들이 33개 종목에서 339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했던 2020 도쿄올림픽이 2024 파리올림픽을 기약하며 17일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대한민국은 29개 종목에 354명(선수 232명, 지원 122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며 종합순위 16위를 기록했다. 금빛 화살을 쏜 양궁은 이번 올림픽에서 처음 도입된 혼성단체전에 이어 여자·남자 단체전과 개인전에 나선 안산이 메달을 추가하며 총 4개의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안산 선수는 양궁 역사상 첫 3관왕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펜싱에서는 남자 사브르 대표팀(김정환, 구본길, 오상욱, 김준호)이, 체조에서는 신재환이 남자 기계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땄다. 이번 대회를 끝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하겠다고 조심스럽게 밝힌 ‘배구 여제’ 김연경은 의미있는 역사를 썼다. 그는 지난달 31일 일본과 A조 조별리그 4차전에서 30득점을 기록, 올림픽 최초로 한 경기 30득점 이상을 4차례 기록한 선수가 됐다. 도쿄올림픽에서 우리나라의 마지막 메달은 근대5종에 출전한 전웅태가 기록했다. 그는 근대5종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거머쥐었다. 대회 마지막 날인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