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야구 진출이냐, 탈락이냐.’ 5회 연속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진출을 노리는 kt 위즈가 가을야구 진출과 탈락의 갈림길에서 리그 최하위 키움 히어로즈와 5위 SSG 랜더스를 상대한다. 2015시즌부터 1군 무대를 밟은 kt는 2020년 이후 4년 연속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고 2021년 정규리그 1위와 챔피언 결정전 우승으로 통합우승 달성했으며 지난 해에는 정규리그를 2위로 마친 뒤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달성했다. kt는 19일 현재 116경기를 소화해 55승 2무 59패, 승률 0.482로 리그 6위에 올라 있다. 5위 SSG(승률 0.491·56승 1무 58패)와는 1경기 차, 4위 두산 베어스(승률 0.521·61승 2무 56패)와는 4.5경기 차다. 2015년 10구단 체제가 들어선 이후 안정적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75승 이상을 올려야 한다. 10개 구단 체제 이후 지난 시즌까지 9년 동안 75승을 달성하지 못하고 4위 이내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경우는 2016년과 2021년 단 두 차례 뿐이다.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정규리그 1위가 챔피언결정전에 직행하고 2위는 플레이오프, 3위는 준플레이오프를 곧바로 준비한다. 4위와 5위는 와일드
지난 2021년 팀 창단 7년 만에 프로야구 통합우승을 차지한 kt 위즈는 지난 시즌 주전선수들의 잇따른 부상으로 하위권을 맴돌다가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순위를 끌어올려 한국시리즈까지 진출, 준우승을 차지했다. kt는 올 해도 주전급 선수들의 부상으로 시즌 초반 하위권을 맴돌았다. 올해도 어김없이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상승세를 탄 kt는 15일 현재 41승 2무 46패, 승륲 0.471로 리그 7위에 올라 있다. 지난 7월 3일 7위로 올라선 kt는 2차례 연승을 달리며 중위권 진입의 기회가 있었지만 번번히 장맛비에 상승세가 꺾였다. 5연속 위닝시리즈를 이어가던 kt는 지난 9일 두산 베어스와 홈 경기가 우천으로 취소되면서 위닝 시리즈를 이어가지 못했고 롯데 자이언츠와 방문경기에서 2연승을 달리던 중 14일 경기가 우천으로 또다시 취소돼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kt로서는 장맛비가 야속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kt는 이번 주 상승 분위기를 이어갈 좋은 기회를 다시한번 잡았다. 이번주 kt의 주중 상대는 리그 최하위 키움 히어로즈이며 주말 상대는 NC 다이노스다. KT는 올해 키움을 상대로 6승 1패의 압도적인 우위에 있으며 NC와는 4승 4패로 팽팽하게 맞서
프로야구 kt 위즈가 선발 엄상백의 호투에 힘입어 키움 히어로즈를 꺾고 2연승을 달렸다. kt는 25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23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키움과 홈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했다. 이로써 kt는 14승 2무 26패(승률 0.350)로 9위 한화 이글스(15승 3무 25패, 승률 )를 승차 1경기 차로 추격하며 탈꼴찌 희망을 이어갔다. 이날 kt 선발 엄상백은 6이닝 동안 4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4피안타 무실점으로 시즌 3승째(3패)를 올렸다. kt는 2회말 공격 1사 1루에서 박경수의 타석 때 1루주자 김민혁이 2루를 훔친 데 이어 박경수의 좌중간 1루타로 1사 1, 3루 득점 기회를 포착했다. 이후 이호연이 2루수 앞 내야안타로 김민혁을 홈으로 불러들여 선취점을 따냈다. 3회초 키움 타선을 삼자범퇴로 틀어막은 kt는 3회말 선두타자 김상수가 우익수 앞에 떨어지는 1루타로 출루한 뒤 2루를 훔쳐 만든 무사 2루에서 앤서니 알포드의 중전 적시타로 1점을 추가해 2-0으로 달아났다. 기세가 오른 kt는 7회말 박경수의 2루타에 이어 이호연의 1루수 앞 땅볼 때 키움 1루수 이원석의 3루수 악송구가 나오면서 1점을 뽑아내 3점 차로
인천 SSG 랜더스가 10회까지 가는 혈투에서 키움 전병우의 맹타에 무너졌다. SSG는 1일 인천 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2022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 ·7전 4승제) 1차전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6-7로 패배했다. 1982년 KBO리그 출범 후 지난해까지 치러진 39번의 한국시리즈에서 한 차례 무승부를 제외하고 1차전에서 승리한 팀이 우승을 차지한 확률은 76.3%다. 이날 패배로 SSG는 통계상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SSG는 2회말 김성현의 1타점 적시타로 선취점을 올렸고 3회말 키움 안우진의 5구째 직구를 최정이 받아쳐 우중간 뒤 담장을 넘기는 비거리 120m의 솔로포가 터지며 2-0으로 리드를 잡았다. 이후 4회를 득실 없이 마친 SSG는 5회초 실책으로 2점을 헌납했다. SSG는 5회초 2사 1루때 실책으로 1점을 내줬고 이후 2사 1, 3루에서 키움 이용규가 타석에 섰을 때 포수 김민식이 공을 빠뜨려 동점을 허용했지만 5회말 2사 1루에서 좌익수 왼쪽을 가르는 최정의 1타점 적시타로 리드를 찾아왔다. SSG는 6회초 2사 1루떄 키움 김태진과 이지영에게 연달아 1타점 적시타를 내줬지만 6회말 1점을 만
국내 최고의 좌완 투수 김광현(SSG 랜더스)과 우완 투수 안우진(키움 히어로즈)이 프로야구 한국시리즈(KS·7전4승제) 1차전에서 맞붙는다. 김원형 SSG 감독과 홍원기 키움 감독은 KS 개막을 하루 앞둔 31일 인천 문학종합경기장 내 그랜드 오스티엄에서 열린 2022 KBO KS 미디어데이에서 두 선수를 1차전 선발로 예고했다.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서 활약한 뒤 올해 KBO리그에 SSG 복귀한 김광현은 올 시즌 정규리그 28경기에서 13승 3패 평균자책점 2.13의 빼어난 성적을 거뒀다. 김원형 감독은 “김광현의 KS 1차전 투입은 정규시즌 우승을 확정한 직후 결정했다”며 “김광현은 경험 많은 우리나라 최고의 투수”라고 말했다. 안우진은 올해 국내 선수 한 시즌 최다 탈삼진(224개) 기록을 세우는 등 15승 8패 평균자책점 2.11의 성적으로 평균자책점 1위, 다승 공동 2위, 탈삼진 1위를 기록했다. 홍원기 감독은 “안우진은 우리의 심장 같은 존재다”라면서 “누구보다 (큰 확률로) 승리를 가져올 수 있는 투수라고 생각해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광현은 지난 8월 3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키움과 방문경기에서 6이닝 2실점으로 패전투수가
프로야구 ‘디펜딩 챔피언’ kt 위즈가 준플레이오프(PO) 1차전에서 아쉽게 패했다. kt는 16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2022 신한은행 쏠(SOL) KBO 준PO 1차전 키움 히어로즈와 원정경기에서 4-4로 맞선 8회말 송성문의 결승타와 임지열의 2점 홈런을 얻어맞으며 4-8로 패했다. 1차전을 패한 kt는 남은 준PO 일정을 힘겹게 치르게 됐다. 1989년부터 시작된 준PO에서 5전 3승제가 치러진 것은 13차례로 이중 1차전 승리팀이 플레이오프(PO)에 오른 것은 9번으로 69.2%로 1차전 승리팀에게 유리했다. kt는 이날 키움 선발 안우진을 공략하지 못하고 고전했다. kt는 올 시즌 15승 8패, 평균자책점 2.11, 탈삼진 224개로 정규리그 평균자책점과 탈삼진 부문 1위에 오른 안우진을 상대로 6이닝 동안 3피안타 1볼넷을 뽑는 데 그치고 삼진 9개를 당하며 1점도 뽑아내지 못했다. 반면 정규리그 승률 1위( kt 선발 엄상백은 5⅔이닝 8피안타 2볼넷 4탈삼진 4실점으로 부진했다. 1회말 김준환의 2루타에 이은 이정후의 유격수 땅볼로 선제점을 내준 kt는 2회와 3회에도 연속안타를 허용하며 1점씩 내줘 0-3으로 끌려갔다. 6회말에도
프로야구 kt 위즈가 키움 히어로즈와 주중 3연전에서 2연승과 함께 위닝시리즈를 거뒀다. kt는 28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22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키움과 홈 경기에서 선발 웨스 벤자민의 호투와 배정대의 4타점 활약을 앞세워 8-2로 승리했다. 이날 승리한 kt는 시즌 48승 2무 40패(승률 0.545)로 리그 4위를 유지하며 3위 LG 트윈스(54승 1무 35패·승률 0.607)와의 승차를 5.5경기 차로 좁혔다. 선발투수로 나선 벤자민은 6이닝 4피안타 3탈삼진 2실점으로 시즌 2승(2패)째를 신고했다. 타선에서는 문상철(2타점)과 신본기(1타점)가 나란히 3안타를 기록했고, 배정대는 1안타 4타점 경기를 펼쳤다. kt는 1회초에 첫 실점했다. 유격수의 송구 실책으로 선두타자 이용규에게 출루를 허용한 뒤, 후속타자 김혜성에게 우전안타를 내줘 무자 주자 1, 3루 위기를 맞았다. 선발 벤자민은 타석에 들어선 이정후를 상대로 투수 땅볼로 잡아냈지만 그 사이 3루 주자가 홈을 밟았다. 3회말 반격에 나선 kt는 역전을 만들었다. 선두 문상철의 2루타로 포문을 연 kt는 신본기의 희생번트로 주자를 3루까지 진루시킨 후 심우준의 1타점 적
프로야구가 이번 주 올스타 브레이크를 앞둔 가운데 ‘디펜딩챔피언’ kt위즈는 전반기 마지막 3연전 승리를 위해 총력전을 펼친다. 리그 4위 kt(42승 2무 38패·승률 0.525)는 오는 12일 오후 6시30분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리는 2022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8위 삼성 라이온즈(35승 48패·승률 0.422)와 주중 홈경기를 치른다. 7월 들어 kt는 무서운 상승세를 타고 있다. 두산(1~3일)과의 7월 첫 3연전 싹쓸이를 포함해 7경기 동안 6연승을 달리며 단 1패만을 기록했다. 6월 마지막 3연전(삼성 전)까지 합한다면 최근 10경기 8승 2패를 기록 중이다. 5할 승률은 훌쩍 넘겼으니 이젠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가는 일만 남았다. 하지만 순위 경쟁이 만만치 않다. 바로 위 자리인 3위 LG 트윈스(51승 1무 30패·승률 0.630) 역시 최근 7연승을 달리며 kt와 8.5경기 차로 크게 앞서고 있기 때문이다. LG는 SSG 랜더스, 키움 히어로즈와 함께 3강 구도체제를 굳히고 있다. 이들이 쌓아올린 견고한 벽을 깨고 하반기 상위권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려면 휴식기 전까지 최대한 승수를 쌓아야 한다. 이강철 감독 역시 이길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