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반복되는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한 경기도의 갖가지 노력이 무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도에 따르면 매년 반복되는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는 공공주차장 건설사업과 더불어 내집앞 주자창 만들기, 그린벨트부지 이용한 주차장 건설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공영주차장이나 환승주차장 확충사업을 통한 주차시설 확보는 지가상승에 따른 토지매입비용이 증가하면서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고, 학교, 공원 등 공공시설을 활용한 주차공간 확보에도 각 기관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 내집앞 주차장 갖기, 거주자우선주차제 시행 등의 추진도 주자장 1면을 조성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평균 3천만원임을 감안할 때 이 역시 세수부족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가가 싼 그린벨트지역을 활용하는 방안이 근본대책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마저도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만큼 행정절차에 따라 승인 기간만 1~2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매년 주차난 해소를 위한 문제는 명확한 해결책이 없는 가운데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차량등록대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불법주차와 교통체증 등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가 건설교통위원회 한나라당 위승철(고양8)의원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5년 10월말 현재 도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347만8천110대이고 이에대한 주차면수는 270만면으로 약 30%의 주차장이 매년 부족하다.
위승철 의원은 “매년 반복되는 주차난은 불법주차로 인한 교통흐름 방해와 주차단속으로 인한 지자체와 주민간 갈등이 끊이질 않고 있다”며 “반복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