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35만 계획도시를 향한 이천시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이천시와 한국토지공사는 15일 지역의 계획개발과 도시의 미래청사진을 결정지을 지역종합개발사업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협약을 통해 새로운 계획개발의 청사진을 제시, 최근 하이닉스반도체 이천공장 증설불허로 침체된 지역분위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향후 2020년까지 인구 35만 계획도시를 목표로 하는 이천시의 지역개발수요와 유·무형의 잠재자원을 발굴하고, 종합적인 도시개발 방향을 설계하는 기초 작업이 된다.
시와 토공측은 이 협약을 근거로 도시공간계획 및 지역종합개발방안 등을 공동으로 수립하고, 주거·산업·유통 및 각종 지역현안개발사업을 포괄적으로 연계 시행하면서 개발이익을 지역에 재투자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기본협약 조인식에는 조병돈 이천시장과 김창연 한국토지공사 경기지역본부장, 김태일 시의회의장을 비롯한 시의원과 공무원, 토공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조병돈 시장은 이 자리에서 “수도권 동남부에 위치한 이천시는 교통의 요충지로 광주, 용인지역의 개발수요가 포화를 이루면서 많은 개발압박을 받고 있다”며 “주택, 창고 등의 무분별한 입지로 도로, 교통 등 자족도시기능이 미흡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조 시장은 또 “이러한 상황에서 대단위 계획개발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토공과 시가 힘을 합쳐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도시개발을 위한 기본협약을 맺게 된 것은 이천이 35만 계획도시로 가는 초석을 놓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이천시는 그 동안 국토중심에 위치한 유리한 입지조건과 중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는 전국 제일의 광역교통망을 갖추고도 수정법상 자연보전권역, 팔당수질관리특별대책2권역, 산집법 등 2중, 3중의 각종 중첩규제로 충북이나 수도권 인근 시군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지역발전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러나 지난해 환경보전차원의 수질오염총량제 수립 등을 전제로 기존 3만㎡(수도권정비위 심의시 6만㎡)미만 범위내 개발이 허용됐던 것에서 10만㎡이상 규모 택지개발사업이 가능하도록 수정법이 개정됨에 따라 개발여건이 다소 나아지게 됐다.
이와 함께 2012년 완공계획인 성남-여주간 복선전철사업과 성남-장호원간 자동차전용도로 등 국책사업 시행은 이천이 수도권 동남부 중심도시로 발돋움하는 전기가 될 전망이다.
시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이천시와 토공 양 기관이 지역종합개발에 관한 기본협약을 체결한 것은 풍부한 국토개발 경험과 조직, 자금능력을 갖춘 토지공사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 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이천행정타운 조성 및 복선전철 역세권 개발, IT·BT등 무공해 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에 탄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한국토지공사는 지난 2002년부터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종합개발사업 협약을 체결해 왔으며, 이천시는 전국에서 49번째 협약지자체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