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 각급 기관·사회단체장 200여명은 이날 이천 시청 회의실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어 군부대 이전 반대를 위한 비대위 공동의장을 선출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김태일 이천시의회의장과 신광철 이천시새마을지회장(하이닉스증설관철비대위의장 겸임)을 공동의장으로 선출하고 대규모 시민규탄대회와 상경투쟁 등 향후 투쟁 전개방향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국방부 발표는 지역 주민과 지방자치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시민 모두가 총 단결해 막아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종환 공동체의식개혁국민운동협의회장은 “송파신도시 건설 때문에 이천에 있는 아름다운 마을의 공동체를 붕괴시키는 것은 부당하다”면서 “하이닉스 증설을 환경 문제를 이유로 불허하면서 오염이 뻔한 대규모 군부대를 일방적으로 이전하겠다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재혁 도의원은 “이웃 일본에선 조그만 폐수처리장을 만들 때도 73번이나 주민과 만나 협의하고 나서야 성사된 사례가 있는 데 공산국가가 아니고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국방부 처사를 비난했다.
그는 또 “정말로 국가안보 때문에 군부대가 이천으로 온다면 반대할 수 없는 일이겠지만, 이번 일은 국가안보가 아니라 서울 송파에 아파트를 짓는 것 때문에 사실상 떠밀려서 오는 것”이라며 “이 때문에 이천이 피해를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특전사, 기무부대 등 군부대 이천 이전 철회를 재촉구하는 결의문을 통해 “국방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한 잘못된 공권력의 전횡을 바로잡고 대대손손 지켜온 삶의 터전과 생존권을 사수하기 위하여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방부와 토지공사의 밀약적인 협의로 애초부터 잘못된 군부대 이전계획의 즉각 철회하고, 힘없는 농민을 내몰고 지역주민과 200만 장애인을 무시한 이번 일에 대해 국방부장관은 즉각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잘못된 이전 계획이 전면 철회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그 어떤 협의도 인정하거나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발생하는 차후 사태에 대한 모든 책임은 국방부에 있음을 엄중 경고한다”고 밝혔다.
한편 비대위는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투쟁 운동본부를 설치할 예정이며, 대규모 시민규탄대회, 20만 이천시민 서명운동, 상경투쟁 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