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해당 지자체들은 각 부서 직원들을 차출, 쓰레기 수거에 나서는 등 임시로 자구책을 펴고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오산시와 민주노총 오산시지부(지부장 이양진) 등에 따르면 오산시 소속 환경미화원(상용직) 69명을 비롯한 수로원, 검침원 등 조합원 84명이 이날 오전 5시를 기해 파업에 들어갔다.
조합원들은 이어 행정자치부 앞 소공원에 집결,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상용직 임금 4.4%인상과 환경미화원 임금 행자부 참고자료 적용 등을 주장하며 집회를 가졌다.
이양진 오산시지부장은 “지난 3월 28일 시와 1차 교섭을 시작으로 6월 14일까지 7차에 걸친 임·단협상 및 본조정을 가졌지만 모두 결렬되면서 파업이 발생하게 됐다”며“지난 10년동안 환경미화원들의 인원 보충이 없어 노동강도가 심해졌고 행자부 참고자료(임금관련)가 적용되지 않는 등 불합리한 근무체계 개선이 시급하다”주장했다.
이들의 파업에 따라 시는 각 부서 공무원 24명을 차출, 오전 5시부터 일반 주택가와 상가지역에 대한 쓰레기 수거에 나섰고 노조측의 파업과 노·사간 재교섭이 진행되는 다음달 2일까지 총 120명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인원부족과 작업미숙 등으로 취약지에 대한 쓰레기 수거나 선별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청소행정에 차질을 빚고 있다.
시 관계자는 “노조의 파업으로 공무원들을 차출해 쓰레기 수거에 나서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지만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쓰레기 처리 문제가 불가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노총 도본부는 지난 28일 “도내 16개 자자체를 상대로 교섭하던 내년도 임·단협상(안)이 결렬, 29일 오산시를 시작으로 오는 31일까지 조합원 1천700여명이 연차적으로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