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17.8℃
  • 맑음강릉 26.5℃
  • 맑음서울 21.5℃
  • 맑음대전 18.7℃
  • 구름많음대구 21.9℃
  • 구름많음울산 18.8℃
  • 구름조금광주 20.2℃
  • 맑음부산 20.2℃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9.3℃
  • 맑음강화 19.8℃
  • 구름조금보은 16.4℃
  • 맑음금산 16.1℃
  • 맑음강진군 17.1℃
  • 흐림경주시 18.7℃
  • 맑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10년 후 한국은 ‘노인대국’

고령자통계, 인구 10명 중 1명 ‘65세 이상’
2016년 유년인구 추월… 초고령 사회 진입

올해 7월1일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481만명으로 총인구의 9.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일 ‘노인의 날’에 맞춰 발간한 ‘2007 고령자통계’를 통해 우리나라 인구 10명중 1명이 노인인구라고 밝혔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고령화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면서 사회 각 부문에서 노인의 삶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통계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며 “종합적인 노인복지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민적 관심을 이끌어 내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고령자 통계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2000년 7.2%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성별 고령인구 비율은 남자가 8%인 반면 여자인구는 11.9%였다.

올해 노령화지수(65세이상 인구 대 0~14세인구)는 55.1이지만, 2016년 노령화 지수는 100.7로 유년인구 추월할 것으로 예측했다.

생산 가능 인구인 15∼64세 인구가 65세 이상 인구를 어느 정도 부양하는지를 나타내는 노년 부양비는 올해 13.8%로 10년 전인 지난 97년의 8.9%에 비해 4.9%p 증가했고, 올해 생산 가능인구는 7.3명으로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

성별 사망율은 남자인구 천명당 5.5명, 여자가 4.5명이고, 연령별로는 60대 남자가 17.5%, 여자 6.8명이고, 70대는 남자 45.5명, 여자 23.8명이다.

노인인구의 이혼도 남자가 2%, 여자 1%로 이는 지난해 각각 1.7%와 0.7%에 비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65세이상재혼 건수는 지난해 남자가 1천761건, 여자 509건으로 10년전에 비해 각각 1.9배와 3배가 증가했다.

여성 재혼율이 높은 것은 경제적 보호가 법제화 되는 등 소득 보장이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해 노인 부부가구의 총 소득은 120만8천원으로 이중 이전소득(연금, 사회보장수혜 등)이 56.9%고, 연금 및 사회보장수혜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노인 의료비는 7조4천억원으로 전체 의료비의 25.9%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고, 경제활동 참가율은 30.5%로 이중 남자가 42%, 여자 22.7%로 나타났다.

산업별 취업자는 절반 이상인 50.2%가 농어업에 종사하고 있고, 취업 희망자는 57.5%로 일자리 선택기준은 임금 수준이 45.2%를 차지했다.

노인복지 관련 예산은 5천692억원으로 정부 예산의 0.36%를 차지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인구중 기초생활보장 수급률은 8.1%로 2005년보다 다소 높았고, 노인의료비는 7조3천931억원으로 2005년에 비해 22.1%가 증가해 전체의료비 증가율 15.2%를크게 상회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