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공무원들이 마을버스업자로부터 단합대회를 빌미로 향응을 제공받아 말썽을 빚고 있는 가운데(본지 4일자 1면 보도) 부천시 감사실이 이같은 사실을 사전에 알고도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4일 부천중부경찰서에 따르면 시 감사실은 경찰의 수사가 이뤄지기 전인 지난 11월 30일 경찰에 전화를 걸어 “시 교통행정과 직원들에 대한 수사가 진행되고 있냐”며 경찰 관계자에게 문의했다는 것..
이는 감사실이 교통행정과 직원들의 비위 사실을 사전에 알고도 즉각 감사나 상부 보고 등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채 묵인해 왔다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제식구 감싸기’의 전형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시 감사실은 또 이같은 사실을 숨기다가 4일자 본지 보도가 나가자 시장을 비롯한 부시장 및 관련 국장에게 이 사실을 늑장 보고해 밀실행정의 표본을 드러냈다.
시 감사실은 교통행정과 공무원들에 대한 경찰 수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이들에 대한 감사 및 징계수위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날 중부서는 이번 사건을 제보한 임모(50·경북 문경시)씨를 참고인자격으로 불러 조사를 벌였다.
이날 경찰에 출두한 제보자 임씨는 마을버스운수 업체 대표인 A씨로부터 교통행정과 직원들이 문경시를 방문할테니 농장에서 먹을 음식과 접대할수 있는 장소를 사전 예약을 받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씨는 공무원들이 문경시에 도착하자 농장과 업소 등 안내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씨는 지난 9월 8일 문경시를 방문한 교통행정과 직원들의 명단을 보고 인상착의를 지적하며 이들 공무원들의 향응과 금품수수 의혹을 제기했다.
경찰 관계자는 “일단 제보자의 진술을 토대로 사건의 발단 경위와 임씨와 마을버스 업체 대표인 A씨가 평소 친분이 두터운 사이로 시 공무원들을 접대하기 위해 임씨에게 여행에 관한 모든 일정을 부탁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마을버스 운행노선과 관련 로비활동을 벌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금명간 관계 공무원등을 불러 조사할 것”이라며 “비위사실이 드러날 경우 사법처리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