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강재섭 대표간 정례회동에서 당정은 ‘긴밀한 협조’에는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도 관심을 모은 ‘국정쇄신안’은 논의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히려 이날 회동에서는 당에서 마련중이던 쇄신안이 언론에 미리 알려진 데 대해 강 대표가 이 대통령에게 “누를 끼친 것 같아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국정지지율 저하와 ‘쇠고기 파동’으로 인한 민심악화를 국정쇄신안으로 돌파해야 한다고 판단, 이날 이 대통령에게 건의할 방침이었다. 당은 지난 16일 이와 관련 책임총리제 강화와 정책특보신설, 쇠고기 파동에 대한 인적쇄신 등 ‘국민신뢰 회복방안’을 마련했었다.
당에서는 국정쇄신책이 사전 유출됐기 때문이라 설명하고 있지만 인적쇄신안 문제를 두고 당정이 이견을 보인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인적쇄신안을 두고 “이번에 훈련했는데 뭘 바꾸느냐”며 인적쇄신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반면 당에서는 “민심수습을 위해서는 인적쇄신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었다.
이로 인해 당에서 마련한 국정쇄신안이 날개를 펴 보지도 못하는 게 아니냐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조윤선 대변인은 이날 ‘쇄신안을 접은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접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답해 사실상 이 문제가 앞으로 거론될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한편 이날 회동에서 친박복당 문제와 관련해서 이 대통령이 당의 해법을 사실상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 대표는 “18대 원구성 협상 추이를 봐가면서 당의 윤리기준과 정체성에 맞는 인사들의 복당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복당 문제는 당의 문제인 만큼 강 대표가 중심이 돼 잘 마무리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밖에 이날 회동에서는 당정간 더욱 긴밀한 협의의 필요성에 이 대통령과 강 대표 모두 공감하면서 사전 협의 강화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