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일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와 청와대에서 정례회동을 갖고 민심 수습 차원에서의 개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강재섭 대표가 “민심을 일신하는 차원에서 폭넓은 개각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건의했고 이 대통령은 “당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각계 원로를 두루 만나 여론을 들은 뒤 민심수습방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강 대표로부터 개각과 여론수렴, 여·야·정 조율을 위한 청와대내 TF팀 신설 등의 민심 수습방안을 건의받고 이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따라 장관·청와대 수석 등에 대한 인적 쇄신을 포함한 국정쇄신 시기를 두고 정가에서는 6·4 재보선 이후인 오는 5일쯤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치고 있다.
또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강 대표가 보고한 친박인사들의 복당 문제와 관련, “그것은 당 문제니까 구체적인 절차 등은 강 대표와 당이 알아서 진행해주면 좋겠다”고 밝혔다.
복당 순서에 대해서는 강 대표가 “우선 한나라당 소속 국회의원으로서 공천에서 낙천해 탈당한 후 18대 총선에서 당선된 사람은 당헌·당규상 결격사유가 없는 한 곧바로 복당조치 하도록 한다”고 밝혀 무소속 의원의 우선 복당이 허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외 (친박연대 또는 순수 무소속)은 “당헌·당규에 따라 해당행위의 정도와 도덕성 등을 심사해 가부를 결정한다”고 말해 일괄 복당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마지막으로 이 대통령은 날로 격화되고 있는 촛불 문화제 과잉 진압 논란과 관련, “폭력 불법 시위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원칙에 입각한 대응이 필요하지만 촛불문화제 등 평화적인 의사표현에 대해서는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