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또 고시원 화재 참사…말 뿐인 소방안전

도내 주요도시 점검결과 소방시설 미비 수두룩

 

용인 고시원 화재로 7명이 숨지고 11명이 중경상을 입는 피해를 입은 가운데 도내 상당수 고시원이 화재에 무방비 상태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 취재팀이 용인 화재 참사가 발생한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도내 주요 도시의 고시원을 집중점검한 결과 대부분의 고시원이 최소한의 소방시설조차 제대로 갖추지 않고 숙박시설로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관련기사 8면>

◆고시원 실태=수원시 장안구 연무동에 위치한 K고시원은 각 방마다 소화기가 비치돼 있긴 했지만 대부분 잘 보이지 않는 책상 밑에 있거나 입주자들이 쌓아놓은 물건 등에 가려져 찾기가 쉽지 않아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워 보였다.

또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A고시원도 유도등이 따로 설치돼 있지 않아 화재시 대피에 어려움이 예상됐고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J고시텔과 인근 S고시텔은 출입문 외에 비상구가 설치돼 있었지만 비상구가 잠금장치로 잠겨 있어 화재시 대피는 물론 소방관들의 진입이 어려울 정도었다.

J고시텔과 S고시텔은 비치된 소화기의 검사기간마저 지난 채로 방치돼 있어 소방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조차 의심스러운 지경이었다.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C고시원과 만안구 안양동 K고시원은 건물이 노후한데다 대부분의 창문이 가려져 화재시 연기에 의한 질식이 우려됐고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B고시원과 신흥동 M고시원 등도 소화기 등 소방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있었다. 특히 모든 고시원들이 이번에 화재가 난 용인 T고시텔처럼 벌집형 밀폐구조로 되어 있어 화재시 대형 참사가 우려되고 있다.

수원 A고시원에서 장기숙박을 하고 있는 한모(30·회사원) 씨는 “용인 고시원 화재 참사 이후 방안에 소화기도 없고 화재시 대피공간도 마땅치 않아 걱정이 많이 된다”며 “방을 얻어 나가고 싶지만 경제적으로 부담이 많이 돼 어쩔 수 없이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기준 강화했다는 정부 대책은=정부는 지난 2006년 7월 서울 잠실 ‘나우 고시원 화재사고’를 계기로 재발방지를 위해 고시원 긴급 특별점검과 함께 안전기준을 대폭 강화하기로 발표했다.

당시 정부는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현장실태를 조사해 비상구 등 안전시설을 갖추지 않은 화재취약 고시원에 대해서는 안전위험구역으로 지정, 주 1회 간부책임순찰을 실시하고 소관부처가 지정돼 고시원에 대한 허가·등록·신고 제도 도입하는 등 안전기준을 강화해 고시원에 대한 종합안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발표에도 불구하고 안전 대책은 이뤄지지 않아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도내 소방관계자는 “고시원의 경우 숙박시설로 분류되지 않고 근린생활시설로 분류돼 소방법을 적용하기가 애매모호하다”며 “고시원 참사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으려면 고시원을 숙박시설로 분류해 법을 강화하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