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가 전국 최초로 전액 민자유치를 통해 추진중인 바이오가스 플랜트(Bio Gas Plant) 사업이 우선협상대상업체 선정과 관련, 일부 후순위 업체와 탈락업체들이 사업투자 기준 공모와 추진절차 등의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시와 업계에 따르면 시는 축산분뇨와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바이오가스 플랜트 설치를 국내 최초 민자유치로 사업공모를 실시했다.
시는 150억~300억원 규모의 사업 추진을 위해 BTO(Build-Transfer-Operate·수익형 민자사업) 일괄방식으로 지난 5월 14일 공고하고 제안서 등록·제출(6월10일~20), 제안서 심사(6월19일~20일)를 거쳐 1,2,3순위 우선협의 대상자를 통보(6월25일)했다.
이어 지난달 29일 업체들이 제출한 사업제안서에 대한 심의위원들의 평가를 실시해 우선협상대상업체 중 E사를 1순위 협상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시는 이 과정에서 심의 평가일을 지난 6월 19일부터 20일로까지로 계획해놓고 정식 변경 공고도 없이 7월 25일까지로 연장해 의혹을 사고 있다.
일부 공모참여 업체들은 “포천시가 추진 일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우선협상대상 업체를 선정하는 절차상의 문제를 일으켰다”며 “심의 기간을 임의로 연장 한 것은 특정업체가 제출한 사업 제안서의 미비서류를 제출 할 수 있도록 시간확보해 준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심의 결과 발표는 심의가 완료된 날 참여 업체들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공개적으로 발표하고 서명 후 종결해야 하나 심의가 완료 된 후 1주일이 지나서 발표 한 것은 특정 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특히 시가 제시한 공모 제안서에는 ‘자연순환형 시스템(소화액 농지 환원)을 기본으로 총량 규모의 수처리 설비를 갖춰야 한다’고 명시하는 등 총량 규모의 수처리를 완료하는 조건의 플랜트 시설을 제시 했으나 E사는 제안서의 공모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업체들의 주장대로 심의 결과 발표 시기에 대해서는 절차상의 문제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며 “아직 업체가 선정 된 것이 아닌 만큼 협약서 체결 시 까지 준비를 철저히 해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할 방침”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포천시는 업체들이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 할 수 있는 공모제안서 및 PT자료 공개를 꺼려 업체들의 주장에 신빙성이 더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