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4일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명백히 우리의 영토이며 영토의 보전은 대한민국 헌법이 대통령에게 부여한 책무”라며, 독도 수호 의지를 거듭 천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식 출범한 ‘독도연구소’ 개소식 참석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독도를 포함한 영토주권과 관련해선 대통령으로서 단호하고 냉철한 의지를 갖고 대처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특히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우호적인 국제 여론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한 데 이런 역할은 새롭게 출범한 독도연구소가 맡아야 할 것”이라면서 “독도 문제는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치밀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우리 모두가 독도 지킴이가 될 때 그 누구도 독도를 넘보지 못할 것”이라며 “독도 영토를 수호하는 데는 정부와 민간이 따로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독도 주민 김성도씨와 지난 2003년 일본에서 귀화한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박춘호 국제해양법재판소 재판관, 이진명 프랑스 리옹3대학 교수, 김영기 미 조지워싱턴대 교수, 박기태 반크(사이버외교사절단) 단장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독도가 한국땅임을 주장해 온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독도연구소 개소에 대해 “세계적으로 홍보되는 일본의 독도영유권 논리를 무너뜨리는 연구 및 홍보활동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박춘호 재판관도 “일본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한국의 논리를 펴는 초석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독도전문가로 유명한 이진명 프랑스 리옹 3대학 교수는 “독도 관련 자료들을 연구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전자도서관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독도 수호를 위한 이들의 노력과 활동을 일일이 격려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