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25일 서울에서 제3차 정상회담을 갖는다. 지난 5월 말과 이달 9일의 1, 2차 베이징 회담에 이어 양 정상이 불과 3개월만에 무려 3번이나 만나는 것은 한중간 한층 긴밀해진 관계를 단적으로 상징해 주는 것이라고 청와대는 18일 밝혔다.
한나라당이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를 언론으로 인정, 기존 언론과 동일한 책임을 부여하도록 하는 내용의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 보장에 관한 법률(신문법)’ 및 ‘언론중재법’ 개정안 추진에 대해 야당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당 최재성 대변인은 18일 국회에서 현안브리핑을 통해 “언론은 장악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면서 “언론을권력의 입맛에 맞게 좌우지하겠다는 발상은 매우 위험하다”고 비판했다. 최 대변인은 특히 “포털은 정권에 의해 좌지될 수 있는 경직된 단위가 아니다”면서 “그야말로 민심의 바다고, 정보의 세계인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도 “누리꾼들의 비판 의견을 봉쇄하려는 정부여당의 끊임없는 언론장악 발상 중의 하나”라면서 “공영방송에 이어 온라인 여론까지 입맛대로 길들이려는 속셈”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김 대변인은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법 개정으로 누리꾼들과 포털에 책임강화라는 족쇄로 여론을 억압하려는 것”이라면서 “표현의 자유라는 기본권 제약으로 국민 불신을 자초하면서도 똑같은 방식으로 대응하는 미몽에서 정부여당은 벗어나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 나경원 제6정책조정위원장은 이날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사실상 뉴스 보도 기능을 하는 경우, 다른 매체와의 형평성에 맞춰서라도 신문법이나 언론중재법의 적용을 받고 책임질 부분은 책임지며, 또 언론으로 인정을 받음으로써 포털도 조금 더 자유로워질 수 있는 부분 있다”며, 추진 배경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