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국내 항공사 안전불감증 여전

5년간 정비·제작결함 등 준사고 발생 25건
조류충돌 연 50~60건… 징계는 ‘솜방망이’
유정복 의원 대책마련 촉구

최근 국내 항공사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항공안전본부가 한나라당 유정복 의원(경기 김포)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항공사들의 항공준사고 발생 건수가 총 25건에 달해 항공기 안전사고에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다.

이 자료에는 또 항공사별 준사고 현황이 대한항공 18건, 아시아나항공 6건으로 발생시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항공기 조류충돌이 매년 50~60건씩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4년부터 지금까지 항공준사고 발생 원인은 항공기 정비·제작결함 사고요인이 7건, 조종과실 5건, 난기류 조우 3건 등이며 항공기 정비·제작결함 및 조종과실 등이 빈번해 항공기 사고가 인재의 위험성에 상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 의원은 “항공기사고는 곧바로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단 0.0001%의 위험상황도 미연에 방지해야 하는 것으로 매년 항공준사고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항공당국의 철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항공준사고 발생의 근본 원인은 조종사 등 관계자들의 과실로 인한 것이라 인재의 위험성을 상시 노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항공사들에 대한 관계기관의 강력한 단속과 제재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유 의원은 “조종과실에 따른 항공당국의 처분 내역을 보면 대부분 자격정지 0.5~1개월 등 솜방망이 징계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서 더 강도 높은 제재 조치가 필요하다”며 “사전 항공기 및 관계자들에 대한 안전점검 및 안전교육 강화가 선결과제“라고 지적하고 관계당국의 철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