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항만의 심각한 체선 현상으로 선박의 입항이 늦어져 발생한 손실이 지난해 총 5천155억원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김세웅 의원(전주덕진)은 국토해양부가 제출한 주요항만별 체선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천과 부산 등 주요 항만은 늘어나는 물동량에 비해 체선 현상이 일반화돼 지난해 5천155억원의 손실이 발생되는 등 최근 5년 동안 2조6천417억원의 손실이 발생, 국내 항만의 고질적인 문제인 체선현상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 지난해 국내 항만에 입항한 선박 8만2천766척 가운데 3천667척이 체선으로 인해 공해상에 대기하다 부두에 접안까지 1.5일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인천항의 경우 지난해 체선률이 9.1%에 달해 들어오는 배 10척 중 1척은 제때 입항하지 못하고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선박지체에 따른 손실비 354억원을 비롯, 화물 납기지연으로 인한 배상금 및 장기보관 할증료, 제품생산차질, 수송지체 등 손실액이 모두 4천8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항만별로는 인천항이 911척이 체선돼 손실비용만 2천291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항 866억원, 광양항 493억원, 울산항 471억원, 목포항 379억원의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인천항만공사 김종태 사장은 “갑문이라는 특수한 항만환경에 자주 발생하는 농무현상으로 인해 인천항의 체선율이 높은 것은 사실"이라며 "지난 연말에 북항에 부두시설이 속속 개장하고 있어 다소 완화됐고 신항이 완공될 때까지 체선율 제로는 사실상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