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롯데마트 수지점 인·허가 및 임시사용승인 특혜의혹과 대현프라자 불법용도변경 등과 관련, 용인지역 유명인사들과 전·현직 공무원이 대거 검찰에 구속돼 지역사회에 충격을 준데 이어 또 다시 건축 인허가를 둘러싸고 각종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어 지역정가와 공직사회가 극도로 긴장하고 있다.
특히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일부 의혹들에 대해서는 사정기관에서 내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용인 공직사회가 크게 술렁이고 있다.
28일 용인시와 지역 정가에 따르면 도지역난방공사가 수지지역의 D아파트에 대해 편법지원과 특혜시비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
지난 1999년 200여가구 규모로 준공한 이 아파트는 준공당시 개별난방이었으나 지난 2004년 지역난방으로 전환했다.
당시 개별 아파트 단지의 경우 시가 지역난방공사로의 전환 예산을 지원해 줄 수 없는데도 지역난방공사 예산 6억여원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져 그 당시에도 위법논란과 특혜시비가 일었다.
특히 박모 전 시의원을 비롯, 시의회에서의 거센 반발에 부딪힌 것은 물론 담당과장이 책임질 수 없다고 결제를 거부했음에도 지원한 것으로 알려져 권력(?)이 작용했다는 설도 떠돌고 있다.
기흥지역 S아파트 인·허가를 둘러싼 특혜의혹도 고개를 들고 있다. 당초 상하수도 문제와 산지전용 등의 문제로 반려를 받았던 이 아파트는 지난 2000년 7월 13일 국토이용계획변경 승인을 받으면서 의혹의 눈길이 집중됐었다.
이후 사업승인변경과정 등을 거치며 분양일정과 준공일정이 1년이상 연기돼 결국 최초 예정일이었던 2003년 7월에서 무려 1년이 지난 2004년 11월에야 준공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업승인변경과 함께 건폐율이 0.5% 늘어 1천92가구로 분양이 이뤄진 점과 계획과 달리 중학교 신설조건 등도 백지화된 것으로 나타나 사람들의 입도마에 끊임없이 오르내린 것은 물론 지난 2006년 지방선거 직후에는 사업시행사의 실제 소유주가 특혜시비등을 우려해 해외로 도피했었다는 소문까지 나돌았다.
이밖에 다른 S아파트와 J아파트 등의 인허가를 둘러싼 용인지역 유력인사와 담당 공무원들과의 밀착의혹설도 잠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구체적인 로비금액까지 나도는 등 의혹의 파문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