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개각설’이 정치권에서는 기정사실화 되는 분위기다. 청와대 공식라인에서는 기회가 있을 때 마다 ‘개각설’을 부인하고 있지만, 정치권에서는 ‘개각’이 기정사실화 됐다는 ‘전제’가 없으면 나오기 힘든 발언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당내 핵심관계자는 “친박인사 4-5명을 기용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청와대에 전달됐다”고 말하고, 청와대 일각에서는 국정원, 검찰청, 경찰청, 국세청 등 4대 사정기관장들도 모두 교체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
현 정부가 출범할 당시에 비춰 국내외적 상황이 급변했고, 이에 맞는 ‘맞춤형 2기 내각’을 출범시켜야 한다는 공감대가 정치권에 상당히 퍼져 있는 상태다.
맞춤형 내각의 주요 골자는 친박 인사를 등용하는 ‘탕평인사’와 정치인 기용을 통한 ‘당청 일원화’이다.
경제위기 등으로 인해 정부와 여당의 팀워크가 중요시 되는 만큼, 당내 친박인사를 포함한 정치인을 대거 기용해 국정장악 능력을 높이고, 내각이 소신껏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장관의 교체가 거론되는 정부부처도 외교통상부,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문화관광부, 등 5-6개 이상으로 ‘중폭’ 이상이다.
법무부 장관에는 홍준표 원내대표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고, 안경률 사무총장은 행정안전부 장관에 하마평을 올리고 있다.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지식경제부 장관에, 원희룡 의원은 노동부 장관으로 거명되고 있다.
친박인사 들 중에서는 최경환 의원과 유승민 의원이 기획재정부 장관에, 김무성 의원은 정무장관에, 한선교 의원은 문화관광부 장관에, 유정복 의원은 행정안전부 장관후보에 각각 이름을 올려놓은 상태다.
그밖에 공성진, 주호영, 정병국, 정종복, 박승환, 이주호, 등 전현직 의원들의 이름도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