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군(군수 조윤길)은 최근 10년간 양서류 및 파충류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이에 따른 실태조사와 함께 개체수를 보호하기 위한 산란환경 조성과 주민들에게 지속적인 홍보를 하는 등 적극적인 보호활동을 추진키로 했다.
16일 군에 따르면 현재 관내 서식하는 개구리 종류의 경우 두꺼비와 참개구리, 무당개구리, 청개구리, 한국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금개구리, 맹꽁이 등이 조사됐으며 특히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금개구리와 맹꽁이는 대청, 덕적, 자월도에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뱀종류는 까치살모사와 능구렁이, 유혈목이, 황구렁이, 먹구렁이가 서식하며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황구렁이와 먹구렁이는 백령도를 제외하고는 관내에 다수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체수 감소원인으로는 양서류의 경우 봄철 개구리 알을 산란할 수 있는 습지의 지속적 감소와 북도면은 황소개구리에 의한 감소와 파충류의 경우 양서류의 감소로 붕괴된 먹이사슬 등이 감소원인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주민의 의식 선진화로 겨울철 남획은 매우 적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봄철 습지보전성이 양호한 백령면과 영흥면의 양서류 감소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관계자는 “양서류는 해충과 곤충 등을 포식하고 야생동물의 먹이감이 되며 파충류는 쥐 등 설치류의 개체 수 조절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농작물의 피해를 줄여주는 유익한 동물로서 보호조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