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수한 정신(精神)과 이념(理念)을 합해 만들어진 실험적 공동체이며 헤이리. 이곳에는 미술적 감각이 돋보이는 건축의 우아한 자태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가 이곳 저곳에서 사람들을 모이게 한다.
지난 1998년 창립한 헤이리는 부지면적 15만평으로 미술인, 음악가, 작가, 건축가 등 380 여명의 예술인들이 회원으로 참여해 집과 작업실, 미술관, 박물관, 갤러리, 공연장 등 문화예술공간을 짓고 사람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헤이리는 경기 파주 지역에 전해져 내려오는 전래농요 ‘헤이리 소리’에서 이름을 따왔다.
헤이리는 다양한 장르의 문화예술인들이 문화예술에 관한 담론(談論)과 창작(創作) 활동을 하기 위해 이룬 공동체마을로 예술인들이 창조적 작업을 통해 국내외 문화예술 콘텐츠의 생산(生産)과 집산(集散)의 새로운 메카를 지향하고 있다.
작가뿐만 아니라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이 기획 또는 상설 전시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문화교류 역할을 위해 헤이리에는 향후 100곳 이상의 전시판매 공간이 마련된다.
현재 헤이리에는 음악·연극·무용, 전통예술 등의 무대예술을 위한 전용공연장과 잡지박물관, 도예미술관, 서점, 작가 스튜디오 등 126개의 독특한 건축물이 곳곳에 들어서 있다.
이리 건축에는 엄선된 국내외 대표건축가들이 참여했다. 건축물 사이의 조화와 시대정신의 구현을 위해 건축코디네이터들이 심혈을 기울여 건축지침이 마련돼 있는 등 설계실명제를 통해 완성된 건물들은 살아있는 건축박물관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헤이리에 있는 모든 설치물은 자연과의 조화를 고려한 예술작품으로 조성돼 있다. 광장에 보도블록에도 예술적 심미안은 일관되게 투영됐다.
헤이리에는 작지만 현상설계를 통해 예술적으로 만들어 놓은 5개의 다리가 있다. 이같은 일은 국내에서 드문 일로서 국내 토목, 건축학계 뿐만아니라 예술적 가치도 지니고 있다.
이곳의 모든 건축은 3층 이하로 기존의 도시를 옮긴 형태가 아니라 인간의 심성과 조화를 이룬 휴먼 스케일의 도시를 이루고 있다.
헤이리의 마을은 원형 그대로의 생태늪이 보존되는 한편, 자연하천(개천)의 개념이 적용된 수로가 보수 유지되고 있다. 이 수로엔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흐르고 누구라도 손을 씻고 발을 담그고 싶은 친수공간이 만들어져있다.
이밖에도 헤이리에서는 연중 다양한 문화예술축제가 열리고 있다.
장르별로 세분화되거나, 종합적인 성격의 헤이리만의 고유한 색깔을 지닌 국제적인 ‘축제’에서부터 계절이벤트, 주말이벤트에 이르기까지 풍성한 볼거리가 연출되고 있다.
그 결과 파주시의 예술마을 헤이리가 서울 인사동·대학로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시가 지정한 문화지구로 지정, 빠른 시일내에 도의 승인도 얻을 예정이다.(문의 : 헤이리 사무국 031-946-855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