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8일 치른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당선된 김상곤 당선인의 취임이 13일 앞으로 다가왔다. 주말과 공휴일을 빼면 취임 준비 기간은 열흘이 채 안된다. 임기가 1년 2개월에 불과한 교육감이라고는 하지만 취임 준비 기간이 너무 짧아 취임 뒤 제대로 업무를 추진할 수 있을지 염려된다. 당선인도 이런 우려 탓인지 민간인으로 취임준비팀을 구성해 교육청 실·과장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으려 했지만 도교육청이 민간인 취임준비팀에 보고할 법적 근거(조례)가 없는데다 그런 선례가 없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명하는 바람에 21일로 예정되었던 업무보고는 무산되고 말았다. 여기서 말하는 선례란 이번 선거에서 낙선한 현 김진춘 교육감의 경우로, 그는 취임 후 업무보고를 받았을 뿐 취임준비팀을 가동하지 않았다. 선례란 본받아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지만 법적 근거가 없다면 해서는 안되고, 그런 모범을 보이는 것이야말로 교육계와 교육자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따라서 취임준비팀 가동은 선례에 따라 하지 않는 것이 나을 뻔했다. 알다시피 이번 도교육감 선거는 진보와 보수의 대결이었다. 교육의 중립성 때문에 정당 공천은 하지 않았지만 음밀한 내천설이 나돈 것도 사실이었다. 투표율이 12.3%밖에 되지 않자 대표성 논란이 제기되고, 선거비용 낭비를 문제삼아 교육감 선거 폐지론까지 대두된 상태다. 그래서 선거는 끝났지만 후일을 염려하는 계층이 많다. 그 염려의 종착점은 두 말 할 것도 없이 김상곤 당선자일 수밖에 없다. 적절한 비유가 될지 모르지만 김상곤 당선자는 지금 가장 불안정하고, 조금은 소란스럽고, 축복보다는 주시의 대상이 되는 실험대 한복판에 서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 같다. 진보라는 정치성향 때문에 여권으로부터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러나 김 당선자를 시험 또는 실험의 대상으로 바라다만 보고, 도울 수 있는 일을 돕지않고 수수방관한다면 그것은 결코 옳은 일이 아니다.
비록 신임 교육감의 임기는 1년 남짓밖에 되지 않지만 그 기간 동안에 매듭짓거나 추진해야할 과제는 예상 외로 많다. 따라서 선거 결과나 정치 성향을 내세워 흔들어대거나 발목을 잡는 따위의 비신사적 태클을 해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일이 잘못되었을 때의 피해는 학부모와 학생 몫으로 돌아 오기 때문이다. 반면에 당선인도 공약만 내세워 사사건건 정부와 맞서거나, 전임자가 결정한 사안을 뭉개버리는 오만은 삼가야 할 것이다. 경기교육의 평화와 발전이 중요하지, 기 싸움은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