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오래된 얘기다. 2007년 11월 12일 경기도의회 의원 97명이 본회의장에 모인 이유는 자신들의 연봉을 33.7% 인상하는 안건을 처리하기 위해서다. 전국 최고의 연봉을 받겠다는 기대속에 본회의장에 모인 도의원은 94명이었다. 한해에 7천252만원의 연봉을 받겠다는 안건은 일사천리로 처리됐다. 연봉을 올리자는 안건에 찬성한 도의원은 94명 이었다. 예상대로 였다. 이때부터 경기도의회 의원들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봉급을 받는 광역의원으로 기록됐다.
좀 다른 얘기지만 2008년 6월 5일 열린 도의회 본회의에서는 도의원 3명에 대한 징계안이 상정됐다. 예상대로 이 안건은 부결됐다. 미국 나이키 본사를 방문한 도의원 중 3명의 도의원이 나이키사에서 저지른 국제적 망신에 가까운 행위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이들 도의원을 그냥 놔둘 수 없다는 여론이 들끓었다. 도의회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한 수단으로 윤리특별위원회를 무려 5번이나 열어 이들 도의원들을 징계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징계안을 본회의에 상정했지만, 그 안은 부결처리됐다. 도민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도의회는 국제적 망신을 저지른 동료의원을 감싸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국제적 망신을 자초한 이들 도의원 3명중의 한 도의원이 또 일을 냈다. 지난 6일 안산시 단원구 탄도마을에서 열린 ‘어버이날 행사’에서 술에 취해 동장을 의자로 때리고 또다른 동장의 얼굴에 술을 끼얹는 등 추태를 부렸다. 한나라당 도당은 진상조사에 나서는 등 뒤늦게 법석을 떨고 있다. 조사결과에 따라 윤리위원회 회부 등을 결정하겠다고 말하고 있지만 앞에서 봤듯이 윤리위원회가 강력한 구속력을 갖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도의원에 대한 처벌이 불발에 그칠 것이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동료의원들의 끈끈한 동료애가 그를 구원할 것이라는 예측은 충분히 가능하다.
더군다나 도의회 한나라당 지도부가 사건 축소를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도덕성 시비마저 일고 있다. 사실 도의원들의 추태는 끊임 없이 이어져 왔다. 대부분의 의석을 석권하고 있는 도의회 한나라당의 횡포와 추태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해 후반기 한나라당 대표의원 선거에 나섰던 도시환경위원회 한 도의원은 상임위원들에게 순금배지 300만원 어치를 돌린 사실이 드러나 사퇴하는가 하면 자신의 아들이 산하기관에 특혜성 취업을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예산을 심의하고 집행부를 견제하고 도민의 소리를 경청하는 지방의원은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한다면 지나친 표현일까.